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만 65세 이상 85세 이하의 제2형 당뇨병 비만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 복합운동 후 irisin, 신체조성 및 당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복합운동군(n=20), 대조군(n=16)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복합운동 프로그램은 야외 걷기 운동과 탄성 밴드 운동을 12주간 주 3회, 1회 60분 간 실시하였으며, 야외 걷기 운동의 운동강도는 중강도(RPE 5~6)로 수행되었으며, 탄성 밴드 운동은 1~4주는 저강도(OMNI-RES 3~4), 5~8주는 중강도(OMNI-RES 5~6), 9~12주는 고강도(OMNI-RES 7~8)로 점진적으로 운동강도를 증가시켰다. 그 결과 복합운동군의 irisin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 체지방률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1), 골격근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당 대사 관련 인자 중 HbA1c(p=.020), 혈당(p<.001)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HOMA-β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Irisin의 변화는 체지방률의 변화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r=-.423, p=.010), 유산소성 지구력 변화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r=.355, p=.034). 또한, HbA1c(r=-.351, p=.036)와 혈당(r=-.424, p=.010)의 변화는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HOMA-β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11, p=.013). 결론적 으로 규칙적인 복합운동의 실천은 제2형 당뇨병 비만 여성노인의 혈중 irisin의 수준을 증가하고, 신체조성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당화혈색소, 공복혈당 및 인슐린 분비능을 개선하여 당 대사 조절 능력에 도움을 주어 당뇨 예방 및 관리를 위해 효과적인 운동으로 권장될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3.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caused by obesity, type 2 diabetes mellitus, dyslipidemia, and genetic factors. Also, hyperinsulinemia directly promotes fat accumulation in hepatocyt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uppress the most common risks of NAFLD, such as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In this context, we evaluated for the effects of black ginseng (BG) extract on lipid accumulation inhibition and degradation in hepatocytes. Methods and Result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potential anti-lipogenic effects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of BG extract in a cellular-,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animal model associated with NAFLD. T2DM animal used C57BL/KsJ db/db mouse (M. 6 wk, n = 56), treated with extract of BG and Red ginseng (RG) (each 100 and 900 ㎎/ ㎏/day, p.o) for 6 weeks. BG markedly reduced palmitate-induced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in HepG2 cells. On histology of liver tissues of T2DM animal, macrovesicular lipid droplets in cytoplasm of hepatocytes were decreased both RG and BG-treated groups. In liver tissue, BG-treated groups suppresse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α (C/EBP-α),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expression, and SREBP-1c mediated induction of acetyl-CoA carboxylase (ACC) and fatty acid synthase (FAS) proteins related to the induction of adipose differentiation. Futhermore, adenosine monophosphate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G-treated groups compared to RG-treated groups. It is also found that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α (PPAR-α) highly expressed in BG-treated groups.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black ginseng extract has an anti-adipogenic and anti-lipogenic effects in the liver when administered as a food supplement and has potential as a therapeutic agent for obesity and T2DM induced NAF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