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泛义动词란 동사의 결합능력이 확대되면서 본래의미에서 벗어나 넓고 유동적인 의미를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말한다. 본 연구는 소위 V2와의 결합을 통 해 본 의미로부터 다소 허화하여 사동 의미를 나타낼 수 있는 ‘弄’, ‘搞’ 2개의 V1에 대해 사동 범의동사(使動泛義動詞)로 정의하고 연구를 진행한다. ‘사동 범의동사구조’ 의 각종 양상들은 어근형태소와 결합하여 대량의 파생어를 만들어 낸다는 점에 있어 서 사동 접사와 비슷한 부분이 많음을 파악할 수 있다. 그렇지만 사동 접사처럼 완 전히 문법적 의미만을 갖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어근처럼 실질적 어휘의미를 발 휘하는 것도 아님에 착안할 때 중국어에도 수많은 어휘를 파생하는 사동파생법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문법화 기제에 의한 범의동사의 범화과 정을 살피고, 이 둘의 구분이 어떤 특징에서 기인하는지 형식적, 문법적, 의미적으로 나누어 중점적 문제들을 다루어 본다
본문은 한국 학생의 동사성 동목구조 사용에서 나타나는 오류문장과 비(非)오류 문장의 실제 예문을 바탕으로, 언어 대조 방법을 통해 한국인 학습자의 오류 문장 형식을 분석하고 또 이를 통해 초급과 중급 학생들의 동사성 동목구조 습득 상황을 전면적으로 이해하여 중국어 교육에서 더 나은 교육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동사성 동목구조는 비교적 특수한 동사류로 동사 자체에 목적어 성분을 이미 포함하고 있어, 목적어를 가질 수 없는 특징과 또한 이합되기 쉬운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문법 구조상 제약을 받기가 쉽다. 한국학생들은 바로 이러한 동목구조의 특징을 학습함에 있어 어려움을 느끼며, 이는 또한 한국학생들이 중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형적인 문법 오류중의 하나이다. 본문은 한국학생들이 사용하는 동사성 동목구조 관련 오류를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으며, 그 발생 원인도 분석해 보았다. 동시에 한중 대조 언어학의 각도에서 번역상의 문제와 한국인 학습자를 위한 제2언어로서의 중국어 교육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었다. 한국인 학습자의 240개 동사성 동목구조 사용 상황에 대한 고찰과 한국어와의 대조를 통하여 중국어 교육에 좋은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한국인 학습자에게 위한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교육방안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한국인 학습자의 동사성 동목구조 사용과 습득과정을 밝히는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Classical Chinese and English are grammatically similar. So We can learn classical Chinese by using English grammar which we have learned for a long time. There are many kinds of word classes in English and classical Chinese but only noun and verb are analyzed in this paper. The Chinese noun`s usage is similar to that of English in word order. But there are different forms in their shape of a word. Chinese noun does nor change its`form although it is moved to the other part in the sentence and the case is changed. On the other hand, English noun changes its` form according to singular plural and case. Chinese verb does not change its` form like English even though number and tense are changed. Except for this, there are many resemblant shapes of using verbs between Chinese and English. We can find out the usage of transitive intransitive auxiliary verb awarding verb causative verb and be have verb is very similar. The western people are accustomed to logical and analytic thinking. They like to classify somewhat. But eastern Chinese people do not so. they like to be significant inclusive and adaptable. We can also find out the perceiv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their language habits.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two factors. The first things has investigated the way the Korean L2 learners apply the pattern of ‘adverb+ verb collocation’ in English to their ‘opinion paragraph writing’ on the topic sentences, with the focus on two factors: meta-discourse perspective on the genre of paragraphs and the writers’ strategies for selecting particular collocation types. Second element with the findings of the first step has suggested the effective writing methods for the Korean L2 learners. From 15th October to 2nd November, 2018, the researchers had examined the L2 learners’ topic sentences shown as in the their first drafts, to identify the attitude (I agree), engagement (consider) markers or self-mentions (I, We) and boosters (completely, fully, strongly, etc.) in meta-discourse resources which were founded on the types of essays. We had proposed that the learners would produce proper English ‘adverb+verb’ collocations based on the semantic features for verbs and adverbs in English and Korean with the feedback comments. Secondly, the researchers had reanalyzed the learners’ final products which have been focused on the learners’ self-correction for the deviant English-Korean collocations or non-collocation in English. The researchers had found out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which had suggested for learning the suitable English collocation usag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major thing has shown that the learners would depend on the meta-discourse resources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academic writing styles or genre. Another implication of the findings is that the new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of L2 ‘adverb+verb’ collocational competence should be based on the nature of teaching methods that stress input-based or refrain from explicit vocabulary tea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