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4

        541.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예치료의 긍정적인 이미지 구축과 방향설정, 효율적인 홍보와 교육 등을 위한 기초자료 수립차원에서대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원예와 치료, 원예치료의 인지도, 원예치료에 대한 이미지 및 원예치료에 대한궁금증을 조사하였다. 대학생들이 원예에서 연상하는 단어를 조사한 결과 꽃, 나무, 꽃꽂이, 향기, 과수원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세분화된 이미지 조사에서는 꽃, 꽃집, 식물원, 꽃꽂이, 정서순화 등 생산보다는 이용분야에 대한 이미지를 강하게 갖고있었다. 치료에서는 병원, 의샤병, 약물복용, 간호사 등 병과병원에 관련된 이미지를 갖는 단어가 높게 나타났다. 원예치료에 대해서는 34.2%가 알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알게된 경로는 TV(47.2%), 인터넷(17.1%), 학교(16.3%)순으로 나타났다. 원예치료의 이미지와 개념에 대해서는 원예치료에 대해 알고있다는 대학생과 모른다는 대학생들간에 다소 차이를 나타냈다. 원예치료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대학생들은 원예치료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단어를 연상하는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원예치료에 대해 모른다고 응답한 학생들은 원예치료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응답외에 식물의 병충해 방제와 관련된 단어를 연상하는 학생들도 다소 있었다. 원예치료에 대한 궁금증에대해서는 원예치료에 대해 잘 안다고 응답한 학생들이나 모른다고 응답한 학생 모두 원예치료의 현황, 효과와 대상자, 시행기관, 전망에 대해 원예치료사에 대해서는 연봉과 사회적 위치, 자격증의 발급기관과 취득방법 등에 대해 궁금하다는 응답자 수가 많았다.
        542.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said to be that most part of Seo-in(西人) scholars (e.g. Song, Si-yeol(宋時烈) and his pupils) regarded Neo-Confucianism(朱子學) as the absolute one, and only admitted it for their orthodoxy. In contrast, however, there was a bunch of scholars who tried to accept Neo-Confucianism critically participating in Seo-in party such as Jo, ik(趙翼), Choi, Yu-hae(崔有海), Choi, Yu-Ji In terms of this viewpoint, I focused on the fact that Gan-ho(艮湖) Choi, Yu-Ji(崔攸之) had revised the book of "Dae-hak-jang-gu"(『大學章句』), and studied his revised contents and its significance to this paper. Gan-ho's revision on " Dae-hak-jang-gu" proofread by Chu-tzu(朱熹:1130-1200) are summarized as follows; (1) Gan-ho regarded next two chapters of 'mul-yu-bon-mal(物有本末)……' and 'gi-bon-ran-yi-mi-chi-ja(基本亂而末治者)……' included in the major text(經) as the explanation of 'Gyeok-mul(格物)', so remade it into the 4th chapter of the minor text(傳) combining with the chapter of 'Cheong-song(聽訟章)' (2) Gan-ho regarded next two chapters of 'ji-ji-yi-hy-yu-jeong(知止而后有定)……' included in the major text and 'gi-bon-ran-yi-mi-chi-ja(基本亂而末治者)……' included in the 5th chapter of the minor text as the explanation of 'Chi-ji(致知)', so remade it into the 5th chapter of the minor text combining the two chapters. The significance of revision on the book of "Dae-hak-jang-gu" by Gan-ho can be valued as follows; (1) Several Seo-in scholars had succeeded progressively traditional scholarship without falling in the trap of adhesion under highly 'Neo-Confucianism dominated circumstance'. (2) Gan-ho had revised some part of "Dae-hak-jang-gu" with his trailblazing viewpoint based on the peculiar studying method mentioned above. (3) Gan-ho had succeeded and developed the former theories digestion well enough advocated by Dong, Goi(董槐) and Gueon, Geun(權近) (4) The separation of the two chapter of 'Gyeok-mul' and 'Chi-ji' from Chu-tzu's "Dae-hak-jang-gu" by Gan-go is outstanding opinion never found on former theories. In interpretation history of "Dae-hak", therefore, it must be valued to quite a new theory that no one had ever mentioned before.
        543.
        199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ite clover는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조기정착과 조성이 어렵고 단속방목에 대한 적응력 부족으로 초지내에서의 존속년한이 짧아 이용성이 제한되어 왔다. 따라서 본 시험은 white clover를 기존초지에 도입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최초예취시기(trifoliolate 1, 4, 8)의 조만과 예취간격 (7일, 28일)이 28일의 재생기간 동안 엽의 크기가 다른 white clover 품종들(Regal, La S.1, Huia 및 S184)의 수량과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온실에서 pot 시험으로 실시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8일 동안의 수확 건물중은 최초예취시기를 빨리하거나 예취간격을 줄임으로써 현저히 감소한 반면, 예취간격에 관계없이 최초예취시기를 늦춤으로써 지품종에 비하여 대업형 Regal이 높았다. 2. 지상부 및 뿌리의 건물중은 재생 초기 (7일)에는 최초예취시기를 늦추고 예취간격을 늘임으로써 증가하나 충분한 기간 동안 재생(28일)이 허용될 때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고, 전재생기에 걸쳐 Regal이 지품종에 비하여 근중 및 전식물체중은 높았다. 3. 재생기간 동안 전식물체중의 증가는 주로 지상부 건물중의 증가에 기인하였고, 예취간격 28일에서는 예취시의 건물중으로 회복하는 데는 약 2주가 걸렸다. 4. 식물개체당 엽면적과 예취간격 7일에서 현저히 감소되었고, 재생 7일에서는 최초예취시기가 빠를수록 감소하나 재생 28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5. 포복경장과 분지경수는 소엽형 S184에서 가장 길고 많았으며 재생기간 동안 급겹히 증가한 반면 대엽형 Regal은 포복경장과 분지경수가 가장 적었고 증가도 완만하였다. 또한 포복경장은 예취간격을 줄임으로써 감소하였다. 모든 형질이 부의 상관이 있었다. 6. 저온처리 기간과 주요 형질들과의 상관은 GA3 무처리시 간장만 유의적인 부의 상관이 있었고, 기지 상관이 없었으며 GA3 1, 10ppm 처리시 모든 형질이 고도의 부상관이 있었다.다.. 조숙다수성인 조광, 내밀, 그루밀, 새밀의 엽록소함량은 월동후 4월 21일까지 높았고 출수후(5월 12일~26일)의 엽록소함량도 높았으며 과거품종인 영광, 장광, 진광, 원광, 신광은 엽록소함량이 낮았다. 9. 순동화율은 다수성품종일수록, 초성이 좋을수록 높았고 장간인 과거품종은 순동화율이 낮았다. 10. 수당립중은 만생종보다 조생종이 낮으며 입모중 1일당 수분감소율은 평균 1.2%, 영광, 진광, 남광, 원광, 신광은 1.5%이었고 조광, 내밀, 그루밀, 새밀, 올밀, 청계밀, 중국8001는 9~1.1이었다. 11. 과거품종에 비하여 최근품종은 다수품종이 많으며 수량의 증가는 직선적으로 증가되고 조광, 내밀, 그루밀, 새밀이 가장 다수성품종이었다. 수량구성요소를 보면 수원 육성품종은 m2 당수수와 천립중의 증가에 의하여, 밀양육성품종은 m2 당수수의 증가에 의하여 수량이 높아졌으며 앞으로 수원에서는 수당립수, 밀양에서는 수당립수와 천립중의 증가에 주력해야겠다.적용 및 임상실무적 차원에서 간호에 대한 제언을 하지 않았다.유모델변수들은 유입-유출 자료들로부터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Gauss-Newton 방법을 이용한 Bard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서울 구로구 시흥동 산사태 발생 지역의 산사면에 대하여 개발된 모델을 적용하여 예제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지하수 흐름 모델이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하여 이용
        544.
        199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의 내염성 검정 방법을 개선하고자 주요 품종을 수경재배하여 염분처리하고 유묘기에 엽의 엽록소 및 유리 proline의 함량을 조사하여 달관조사에 의한 내염성정도와의 관계를 검사하였다. 1. 염해정도는 0.6%의 염분처리에서 약 25일이 경과되어야 품종간 차이가 뚜렷하였다. 2. 염분처리농도별 엽록소의 함량은 처리후 14일에 가야벼와 태백벼에서 모두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는데 그 감소경향은 0.4% 이상부터 가야벼보다 태백벼에서 크게 나타났다. 3. 0.6%의 염처리에서 염록소의 함량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가야벼에서는 감소정도가 완만하였는데 태백벼에서는 감소정도가 컸으며 처리 20일 후에는 무처리에 비하여 가야벼는 약 16%, 태백벼에서는 약 67%가 각각 감소되었다. 4. 0.6% 염처리에서는 처리후 10일에 품종별 엽록소함량과 염해정도(1-9)와의 사이에는 유의적인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5. 염처리농도에 따라 유리 proline의 함량은 처리 후 14일에 가야벼에서는 염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고 태백벼에서는 0.6%까지 급증하였다가 0.8%에서는 감소되었는데 특히 0.4%와 0.6%에서는 태백벼가 가야벼보다 월등히 높았다. 6. 0.6%의 염처리에서 시기별 유리 proline의 함량은 가야벼에서는 처리 15일 후부터 증가하였으나 태백벼에서는 처리 5일 후부터 급증하다가 처리 20일 후에는 오히려 감소되었으며 처리 10일 후에는 태백벼가 가야벼에 비하여 6배 이상이나 높았다. 7. 0.6% 염처리 10일 후에 유리 proline의 함량과 염해정도와의 사이에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 있었다. 8.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벼 유묘기의 염처리에 따른 엽록소 및 유리 proline함량은 품종간 내염성정도를 판정할 수 있는 지표의 하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엽면적지수의 최고점이 조기에 오고 만생종은 늦게 최고점에 달하였다. 최고점의 엽면적지수는 6.4~6.8이었고 측정시기별 엽면적지수합계치는 최근품종이 24.6~28.8범위인데 과거품종은 이보다 훨씬 많았다. 8. 조숙다수성인 조광, 내밀, 그루밀, 새밀의 엽록소함량은 월동후 4월 21일까지 높았고 출수후(5월 12일~26일)의 엽록소함량도 높았으며 과거품종인 영광, 장광, 진광, 원광, 신광은 엽록소함량이 낮았다. 9. 순동화율은 다수성품종일수록, 초성이 좋을수록 높았고 장간인 과거품종은 순동화율이 낮았다. 10. 수당립중은 만생종보다 조생종이 낮으며 입모중 1일당 수분감소율은 평균 1.2%, 영광, 진광, 남광, 원광, 신광은 1.5%이었고 조광, 내밀, 그루밀, 새밀, 올밀, 청계밀, 중국8001는 9~1.1이었다. 11. 과거품종에 비하여 최근품종은 다수품종이 많으며 수량의 증가는 직선적으로 증가되고 조광, 내밀, 그루밀, 새밀이 가장 다수성품종이었다. 수량구성요소를 보면 수원 육성품종은 m2 당수수와 천립중의 증가에 의하여, 밀양육성품종은 m2 당수수의 증가에 의하여 수량이 높아졌으며 앞으로 수원에서는 수당립수, 밀양에서는 수당립수와 천립중의 증가에 주력해야겠다.적용 및 임상실무적 차원에서 간호에 대한 제언을 하지 않았다.유모델변수들은 유입-유출 자료들로부터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Gauss-Newton 방법을 이용한 Bard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서울 구로구 시흥동 산사태 발생 지역의 산사면에 대하여 개발된 모델을 적용하여 예제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지하수 흐름 모델이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하여 이용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매개변수분석 연구를 통하여, 변수 a값은 작은 변화에 대하여 목적함수값에 큰 변화를 일으키므로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