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현실과 게임 내에서 드러나는 성취동기의 비교 분석 KCI 등재

The Analysis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in the real-life and the computer gam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70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한국컴퓨터게임학회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초록

본 연구는 현실에서의 성취동기(achievement motivation)가 컴퓨터 게임이라는 가상 현실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섯 가지 성취동기의 하위 척도 (과업지향성, 자기책임성, 도전성, 승부 및 결과에 대한 관심도, 미래에 대한 관심도)를 통해 현실에서의 성취동기와 컴퓨터 게임 내에서의 성취동기를 조사하였다. 결과는 현실 내 성취동기와 컴퓨터 게임 내 성취동기는 전반적으로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음이 드러났지만, 몇 가지 점에서 다른 심리적 양상이 발견되었다. 즉, 컴퓨터 가상 공간에서 보다 현실 공간에서 미래에 대한 보다 많은 관심을 보였으며, 특히, 자기 책임성항목과 관련하여 컴퓨터 공간에서는 공동과제대한 실수를 타인에 귀인하는 반면, 현실공간에서는 자기자신에 대한 실수로 귀인하는 반대의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현실에서의 성취동기와 컴퓨터 게임 수행에 과련 된 성취동기는 많은 연관성을 가졌지만, 컴퓨터 게임이라는 가상공간에서는 몇 가지 특수한 형식으로 성취동기에 대한 심적 패턴이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duct the comparison analysis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in real world and virtual reality, such as computer game, by evaluating five dimensions in achievement motivation: task orientation, self-responsibility, challengability, interest of competition and its consequence and interest of the future. From the thorough evaluation on those dimensions, the study resulted with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in reality and virtual reality. However, several psychological features differed in them. In the virtual reality, subjects showed more interest in the future compared to that of reality. In addition, in the self-responsibility dimension, they attributed mistakes in collective tasks to other's fault in the virtual reality, while the attribution was headed to their own fault in the reality. In fact, achievement motivation in reality and virtual reality shares many relations. Specifically, the virtual reality in computer games forms a certain psychological pattern regarding achievement motivation in some distinctive ways.

목차
요약   제목없음   I. 서론   II. 방법 및 절차    2-1. 설문 대상 및 컴퓨터 게임    2-2. 재료   III.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정재범((주)인텔리전트 게임즈 뇌신경 게임과학 연구소) | Jae-Bum Jung
  • 하경희(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Kyung-hee Ha
  • 이비한(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Bi-Han Lee
  • 최문기(고려대학교 교양교육실) | Moon-gee Choi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