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을 위한 적작목(품종) 선발 3. 영남지방(밀양)을 중심으로 KCI 등재

Selection of Promising Forage Crops and Variety for Forage Production in Paddy Field 3. Yeongnam region (Milya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55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양질의 조사료를 최대한 생산하기 위한 적정 사료작물을 선발하고자 경남 밀양 영남농업연구소에서 보리(5품종), 밀(2), 호밀(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 3) 등 4작목 13품종을 공시하여 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보리의 출수기는 4월 일, 유숙기는 5월 일, 황숙기는 5월 일이었다. 유숙기황숙기 기준 건물수량은 ha당 톤이었으며, 평균 ADF는 29.7%, NDF는 56.3%였고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promising forage crops fer forage production in paddy field of YARI, RDA, Milyang from 1999 to 2001. The species of forage crop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barley(5 varieties), wheat(2), rye(3) and Italian ryegras

저자
  • 서성(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김원호(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김종근(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최기준(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고종민(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
  • 임시규(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