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TS-CAPS 마커 개발을 통한 110개 한국 콩 품종 판별 KCI 등재

Discrimination of 110 Korean Soybean Cultivars by Sequence Tagged Sites (STS)-CAPS Mark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116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지 (Korea Journal of Breeding Science)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콩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내 콩품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판별을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공우성(Co-dominant)인 STS 마커는 RCR기반으로 한 agarose gel에서 쉽게 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대량의 유전자원 분석 및 품종판별에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MF technique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대표품종인 황금콩의 Genomic DNA library를 작성하고 이를 해독한 염기서열 정보로부터 STS-CAPS 마커를 개발하여 국내 콩 품종판별에 적용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선발된 총 1440개의 클론 중에서 700 bp 이상인 887개의 콜로니에 대해 염기서열 분석을 하였다. 분석된 클론의 염기서열 정보를 이용하여 총 143쌍의 STS primer를 제작하고, 황금콩에서 단일밴드로 증폭되는 101쌍의 primer를 1차 선발하였다.2. 선발된 101쌍의 primer를 국내 주요 14품종에 적용하여, PCR 증폭 후 AluI, HaeIII 등 7종의 제한효소를 처리, 2%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 한 후 품종 간 다형성을 확인하였다. 14개 주요 보급 콩 품종에 대해서 다형성 분석을 통해 총 18쌍의 STS primer를 선발하였다. 3. 콩 품종판별을 위하여 선발한 18개 STS-CAPS 조합(51개 조합)의 총 대립인자 수는 147개였으며, 대립인자 수의 범위는 2-6개이었고, 평균 대립인자 수는 2.9 였다. 분석에 사용한 51개의 STS-CAPS조합의 PIC value는 0.02-0.74 의 범위였으며 평균 PIC value는0.40이었다. 4. 110개 한국 육성 품종을 대상으로 단계별(14단계)로 품종판별을 하였다. 110 개의 품종 중 동일한 패턴을 보인 4개의 품종(진품콩과 진품콩 2호 및 소원콩과 신강콩) 을 제외하고 106(96.4%) 품종이 판별되었다.

Soybean is one of the most widely planted crops supplying oil and edible bean. Soybean has a complicated genome due to at least two rounds of polyploidization. Although there are several types of molecular markers available for soybean genotyping, agarose gel-based molecular markers for this purpose are not suffici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S markers that can discriminate Korean soybean cultivars using agarose gels. We employed methylation filtering (MF) technique for constructing a genomic DNA library of “HwangKeum” and selected 1,440 colonies. Of the 1,440 colonies, 887 colonies which had more than 700 bp of insert DNA were sequenced. A total of 143 STS primer sets were designed from sequencing data of selected colonies. One hundred one STS primer sets showed unique band in 14 Korean soybean cultivars and digested with 7 restriction enzymes including Hinf I. Among them, 18 STS primer sets showed polymorphic bands. We developed 51 marker combinations and selected 14 marker combinations, which were used to discriminate 110 Korean soybean cultivars. As the results, 106 cultivars (96.4%) were discriminated by using agarose gel-based markers. Therefore, STS-CAPS markers could be useful to discriminate soybean cultivars and identify soybean genotypes.

저자
  • 황태영(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Tae-Young Hwang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 서민정(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Min-Jung Seo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 이석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Seuk-Ki Lee
  • 박향미(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Hyang-Mi Park
  • 정광호(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Kwang-Ho Jeong
  • 이유영(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u-Young Lee
  • 김선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Sun-Lim Kim
  • 윤홍태(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Hong-Tae Yun
  • 이재은(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ae-Eun Lee
  • 김대욱(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Dea-Wook Kim
  • 정건호(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Gun-Ho Jung
  • 권영업(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oung-Up Kwon
  • 김홍식(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Hong-Sig Kim
  • 김율호(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ul-Ho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