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연산 돈암서원(豚巖書院) 구지(舊址) 및 현지의 공간구성과 경관특성 KCI 등재

A Study on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Landscape of Former and Existing Site of Donamseowon

연산 돈암서원 구지 및 현지의 공간구성과 경관특성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18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조선 중기 연산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하였던 기호학파 사림의 본거지라 할 수 있는 연산 돈암서원의 구지와 현지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해 고찰한 것으로 돈암서원의 구지의 입지 및 경관성과 장소성 그리고 서원 일원의 입지및 공간구성을 검토함으로써 세계문화유산 등재 등에 따른 돈암서원의 진정성을 고양할 수 있는 자료 추출을 목표로시도되었다. 구지에 존재하는 돈암 각자바위를 비롯하여 고지도 및 양성당십영에서 언급되는 조망경관상과 풍물요소는 구지의장소정체성을 함축하고 있다. 특히 양성당 주변에 조성되었던 쌍연지(雙蓮池)는 현지에서도 복원이 요망된다. 한편현지의 공간구성은 전학후묘로 응도당인 강당이 수직축 상에 있었지만 건물은 현 위치로 이건시 이미 양성당이 강당의위치로 이건되어 부득이 응도당은 좌측으로 자리 잡게 된 것으로 보인다. 현 공간구성은 진입공간-강학공간-제향공간그리고 관리공간으로 구분된다. 현 부지내 식재된 수목 중 향나무 노거수를 비롯하여 배롱나무, 소나무 등은 보존적가치가 높게 파악되며 입덕문 기단과 꽃담에 표현된 상징미학적 메시지도 파악할 수 있었다.현 부지의 지속적인 보존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현 위치에서 가까운 돈암서원의 구지 또한근 250여 년간 서원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한 곳으로서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된 돈암서원의 진정성을 강화한다는측면에서도 구지의 보존 및 경관 형성은 매우 중요한 과제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current loca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of the Former and the existing site of Donamseowon, which was the base of Salim(士林) developed mainly in Yeonsan area during mid-Chosun period. By studying the current loca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of Former and the site of Yeonsan Donamseowon, it extracted data for the enhancement of authenticity of Donamseowon as it was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Including Donam Gakja rock in Former, distant landscape and scenery elements mentioned in the old map and Yangseongdangsimyoung imply the locational identity of the Former. Especially, Ssanyeonji, which was constructed around Yangseongdang is required to be restored on site. Meanwhile,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site is the school in front and the court in the back arrangement that the assembly hall, Eungdodang, was on the vertical axis, but it seems when the building was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 because Yangseongdang was already moved to the location of the assembly hall, Eungdodang was placed on the left. Current spatial organization is classified as entrance, studying area, rite area, and management area. Among plants in current site, old Juniperus chinensis, Lagerstroemia indica and Pinus densiflora are considered for high preservative values, and symbolically aesthetic messages on the stylobate of Ipdeokmun as well as flower wall. Continuous preservation of current site is important above all. However, the Fomer in Donamseowon close to the current area, which was to perform roles and functions of a lecture hall for past 250 years, must also be preserved and the landscape should be formed to reinforce the authenticity of Donamseowon, which is registered in the tentative list of World Cultual Heritage.

저자
  • 최종희(배재대학교 생명환경디자인학부) | Choi, Jong Hee
  • 노재현(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Rho, Jae Hyun Corresponding author
  • 오현경(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한반도생태연구소) | Oh, Hyun Kyung
  • 한윤희(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한반도생태연구소) | Han, Yun 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