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연령에 따른 만성 뇌졸중 환자의 전산화 인지재활이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ADL Performance in Patients After a Chronic Stroke According to 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3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Rehacom)이 50대, 60대, 70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1년 6월 1일부터 동년 9월 30일까지 부산에 위치한 I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뇌졸중 진단을 받고 발병일로부터 24개월이 경과한 50대, 60대, 70대 각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us Examination-Korean; MMSE-K) 점수 18점 이상 23점 이하의 환자이며, 중재는 1회 30분씩, 주 3회, 9주 동안 Rehacom을 이용한 전산화 인지재활이 제공되었다. 중재 전과 중재 3주, 6주, 9주에 걸쳐 인지기능을 비교하기 위해 한국판 수정 간이정신상태검사(Korean Modifie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3MS)과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검사(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를 시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 와 기능적 독립측정(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을 시행하였다.
결과 : 중재 전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능력에서 50대, 60대, 70대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중재가 진행되면서 각 집단의 NCSE와 K3MS 점수는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공분산 분석에 의하면 중재 후 세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상생활활동 분석결과 50대 군은 중재에 따른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60대와 70대는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5). 중재 후 세 집단 간 비교 시 FIM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연령에 따른 인지기능의 회복정도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전산화 인지재활을 통한 K-3MS의 점수향상과 연령은 MBI점수와 FIM점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Rehacom)이 발병일로부터 24개월이 경과한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도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인지기능 향상은 고연령층에서 일상생활활동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나 연령이 높은 환자에게도 전산화 인지재활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CACR)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 chronic stroke patients in their 50s, 60s, and 70s.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at I Hospital in Busan from June to September, 2011. Thirty
participants who passed the 24-month stage from stroke onset were grouped into three age
groups: 50s, 60s and 70s. CACR was performed using Rehacom 30 minutes a day, three days
a week, for nine weeks. The cognitive functions of the patients were assessed using their K-3MS
and NCSE scores, and their ADL performances were assessed through their FIM and MBI scores. The assessments were performed four times: before training, after 3 and 6 weeks of training, and at the end of 9 weeks of training.
Results : Before training, the cognitive functions and ADL performances of the pati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age groups (p<.05). As time passed, the K-3MS and NCSE scores of the three age groups increas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3MS score among the three groups after training. Analysis results of the ADL performance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patients in their 60s and 70s, but not those in their 50s. After training,
the FIM scores of the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5). Analysis results of
the patients' cognitive function recovery on their ADL performances showed that an improvement
of their K-3MS scores based on CACR and age are factors influencing their MBI and FIM scores.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that CACR using Rehacom is effective for an improvement of the cognitive function and ADL perform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24 months after onset. This
was more effective for those in their 70s than those in their 50s and 60s. This study suggests that CACR is an effective tool for elderly chronic stroke patients.

저자
  • 배원진(인창병원) | Bae, Won-Jin
  • 박용광(동의의료원) | Park, Yong-Kwang
  • 최용원(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과학협동과정) | Choi, Yong-Won
  • 한승협(마산대학교 작업치료과) | Han, Seung-Hyup
  • 감경윤(인제대학교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연구소 & 유비쿼터스-헬스케어 연구소) | Kam, Kyung-Yo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