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의 카사바는 최근 벼 다음으로 매우 중요한 작물로 부상하고 있다. 국내 소비와 수출이 증대됨에 따라 지난 10년 동안 급성장을 하고 있다. 최근의 재배면적 변화를 보면 2000 년 16,279 ha에서 2012년 361,854 ha로 급격하게 증가되었다. 생산량도 2000년 147,763톤에서 2012년 7,613,698톤으로 약 52배 늘었다. 단위면적당 수확량을 보면 ha당 2000년 10톤 내 외에서 최근 우기재배의 경우 21톤, 건기의 경우 약 29톤에 이르고 있다. Battambang, Kampong Cham 및 Banteay Mean Chey 등이 주산지이며, 이들 지역의 생산량은 전체의 48%를 차지하고 있다. 수량 감소 주요인은 토양 양분결핍, 재배기간의 단축, 잡초 피해 등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생산성이 저조한 지역에서도 수량 감소 요인을 개선하게 되면 금후 수량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계 시장에서 캄보디아의 카사바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는 수량성 증대와 생산비 절감이 절실하다. 영양적 측면에서 전분함량 증대, 전분의 기능성 확대, 영양가치의 향상 등도 요 구된다. 가공면에서는 가공공장의 확대, 가공효율 개선, 새로 운 가공기술과 상품 개발 등도 개선되어야 한다. 특히 새로운 시장 개척과 생산, 가공 및 유통 등의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 이 필요하다 하겠다. 이 밖에도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인건 비, 농산물 및 서비스가격의 상승 등도 해결되어야 한다. 또한 다수확 품종의 지속적인 공급과 농가의 기술 평준화가 선행되 어야 한다. 지역 및 국제시장에서의 카사바 가격에 대한 정보 도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농가의 관개시설 미비에 따른 천연 강수량 의존성과 설비 보완업체 부족 등도 문제다. 이러한 점 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카사바에 대한 명확한 정책 및 관련기 관의 설립 기반이 마련되어야 하고 기관과 재정의 강화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마케팅 체계를 다양화하고 카사바 부가가치 의 향상이 필요하다고 본다.
In Cambodia, cassava is currently the second most important crop after rice. Production of the crop has greatly increased during the past 10 years due to a combination of increased demand for both domestic consumption and for export, and associated high pric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status of cassava production and prospect in Cambodia. The area planted to cassava has expanded dramatically from 16,279ha in 2000 to 361,854ha in 2012, while annual production has increased from 147,763 ton in 2000 to 7.6 million ton in 2012. Average cassava crop yield h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about 10 t/ha in 2000 to 21~29 t/ ha in 2012. Much of this improvement reflects the expansion into new production areas where soils are relatively fertile, combined with the adoption of new higher yielding varieties. Cassava has now become an important cash crop as resource for poor farmers in Cambodia. The three main provinces that occupy the 48% of the total production in Cambodia are Battambang, Kampong Cham, and Banteay Mean Chey. The main yield constraints identified were soil nutrient deficits, short crop duration and weed competition. In the fields with lower yields should be increase with improvement of the main yield constraints. To maintain cassava’s competitiveness in world market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ncrease yields, reduce production costs, broaden the range of starch functional properties and increase the starch content or nutritional value of roots. In addition, processing efficiency needs to be improved, new processes and products developed, and new markets for cassava-based products identified. This can only be achieved by the integration of production, processing and marketing, by the active collaboration of the various institutions involved, and through an effective partnership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