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미 교배 효율 증대를 위한 화분 임성 검정 KCI 등재

An Increment of Crossing Efficiency with Consideration of Pollen Viability Analysis in Ros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7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현재 재배되고 있는 장미 재배종은 오랜 기간 동안 종간교잡과 종내교잡을 통해 선발되어 온 것으로서 대 부분이 이형잡종의 게놈으로 구성되어 있어 발아율이 저조한 편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교배를 위해서는 화 분의 활력 검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염색액과 발아배지를 이용하여 7품종의 화분 임성율과 발아율 검정하고 이들 결과를 토대로 화분의 크기, 배수 성 및 교배조합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화분 임성율은 ‘스칼렛미미’가 82%로 가장 높았으며 ‘피노키오’가 39%로 가장 낮았다. 발아율 관찰 결과 ‘스칼렛미미’가 41%로 가장 높았으며 ‘미니로사’가 1%로 가장 낮았다. 화분의 크기를 관찰한 결과 화분은 큰 화분 과 작은 화분으로 구분되었으며 화분의 직경은 각각 41.3- 45.4 μm과 30.7-37.4 μm로 관찰되었으며 화분의 크기는 10-40% 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분의 크기 와 염색체 전체 길이의 합을 비교한 결과 염색체 크기와 화분의 크기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배조합 검정 결과 착과율과 발아율은 화분 발아율, 임성률 및 배수성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urrent rose cultivars are all composed of heterozygous genome due to long history of out crossing including interspecific hybridization. It has been adapted by artificial selection and crossing by breeders that mainly based on the crossing with fertile pollen derived from inter- or intra-specific hybridization. Pollen viability and germination ability test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designing of parentage for more successful breeding efficacy. In this study, we tested the pollen viability and germination ability in seven rose cultivars to find any relationship among several factors including pollen size, ploidy levels, and crossing compatibility. The pollen viability showed wide ranges from 39% ‘Pinocchio’ as minimum to 82% ‘Scarlet Mimi’ as maximum, whereas pollen germination rate were from 1% ‘Mini Rosa’ to 41% ‘Scarlet Mimi’ as a highest. Pollen size ranged from 41.3 to 45.4 μm in large sized pollen and 30.7 to 37.4 μm in small sized pollen. The mean diameter of large sized pollen is approximately 10-40% bigger than that of small sized pollen.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ploidy level, total chromosome length, and pollen size. Crossing list showed that seed setting ratio and seed germination were related to pollen viability, pollen germination, and ploidy level.

저자
  • 황윤정(경북대학교 원예학과) | Yoon Jung Hwang
  • 송창민(경북대학교 원예학과) | Chang Min Song
  • 권민경(경북농업기술원) | Min Kyung Kwon
  • 김성태(원예특작과학원) | Sung Tae Kim
  • 김원희(원예특작과학원) | Won Hee Kim
  • 한윤열(경북농업기술원) | Youn Yol Han
  • 한태호(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부) | Tae Ho Han
  • 임기병(경북대학교 원예학과) | Ki Byung L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