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조건을 달리하였을 때 양파의 pyruvic acid와 당함량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하였다. 보광처리에 따른 양파의 수확 시 생육과 pyruvic acid 및 당 함량을 비교해 본 결과, 무처리구에 비해 보광처리구가 생육이 좋았으며 pyruvic acid 함량은 낮고 당 함량은 높았다. 품종 및 보광정도에 따른 수확 시 생육은 조생종은 광량이 증가할수록 좋았으나 만생종은 12μmol·m-2·s-1 PAR 이상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pyruvic acid와 당 함량은 조생종에 비해 만생종이 훨씬 높았다. Pyruvic acid 함량은 조생종은 24μmol·m-2·s-1 PAR 처리에서 가장 낮았고 만생종은 12μmol·m-2·s-1 PAR 이상의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다. 당 함량은 조생종은 18μmol·m-2·s-1 PAR 이상의 처리에서, 만생종은 12μmol·m-2·s-1 PAR 이상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단 양파 육종을 위한 개체선발에 있어 지향하는 지표는 pyruvic acid 함량이 낮으면서 감미도가 높은 개체를 선발하는 것인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조생종 품종은 18μmol·m-2·s-1 PAR 이상으로 보광처리를 해주고 만생종 품종은 12μmol·m-2·s-1 PAR 이상으로 보광처리를 해 주게 되면 총당 함량에 대한 pyruvic acid 함량(PA/TS rate) 비율이 낮아지므로 단 양파 생산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plemental lighting with different lighting intensity during growth on the sugar and pyruvic acid content of onion bulbs. As the result of comparison with growth, the content of pyruvic acid and sugar at harvest, supplemental lightening condition showed better growth, lower pyruvic acid content and higher sugar content than control. As to the growth at harvest according to lightening condition, 'Josaeng-ssundeobol' showed better growth as the lightening increased and 'Damrojunggab' had no difference above 12μmol·m-2·s-1 PAR. 'Josaeng-ssundeobol' contained much more content of pyruvic acid and sugar than 'Damrojunggab'. 'Josaeng-ssundeobol' had the lowest pyruvic acid content in 24μmol·m-2·s-1 PAR and 'Damrojunggab' had no difference above the 12μmol·m-2·s-1 PAR. The sugar content of 'Josaeng-ssundeobol' had no big difference above 18μmol·m-2·s-1 PAR and that of 'Damrojunggab' had no big difference above 12μmol·m-2·s-1 PAR. Desirable indicator to select individuals for the onion breeding is to select individuals that has low pyruvic acid content and high sweetness.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produce sweet onion conditioned on light supplement over 18μmol·m-2·s-1 PAR in 'Josaeng-ssundeobol' and over 12μmol·m-2·s-1 PAR in 'Damrojungg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