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마쇄고추를 첨가한 김치의 이화학적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특성 KCI 등재

The Physico-chemical Chang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the Mashed Red Pepp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36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한국식생활문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초록

김치에 첨가되는 고추를 건조하지 않고 세척, 마쇄한 다음 냉동 저장한 고추를 김치에 사용하여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김치의 pH는 제조당일에는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 마쇄액의 pH가 가장 높았으며 마쇄고추로 담근 김치의 마쇄액과 김치액에서는 그보다 더 낮게 나왔고 숙성 2주까지 동일한 경향을 보이며 감소하다 숙성 3주이후에는 시료간에 pH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산도는 담근 초기에 마쇄고추를 사용한 김치가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보다 높은 산도를 보였으나 숙성 2주째에는 동일하였고 숙성 3주부터는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의 김치액과 마쇄액에서 모두 마쇄고추를 사용한 김치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숙성 전 기간을 통해 김치의 L값과 a값은 마쇄고추를 사용한 김치액이 가장 높았고 b값은 가장 낮았다. 유기산 함량에서는 acetic acid와 lactic acid는 숙성이 진행될수록 마쇄고추를 사용한 김치에서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citric acid는 숙성 2주까지는 동일하게 마쇄고추를 첨가한 김치가 더 높았으나 숙성 3주부터는 마쇄고추 및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김치의 QDA 결과 담근 직후와 숙성 2주일째 김치에서는 적색도, 매운맛, 상큼한 맛이, 숙성 5주째 김치에서는 적색도와 상큼한 맛에서 마쇄고추를 사용한 김치가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에서는 담금 직후, 숙성 2주째 및 숙성 5주째에서 모두 마쇄고추를 사용한 김치가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보다 외관과 종합적인 기호도가 월등히 높았다. 따라서 마쇄고추를 김치에 사용할 경우 기존의 고춧가루를 사용할 경우에 비해 김치의 L값과 a값 및 citric acid함량을 증진시켜 관능검사시 적색도와 상큼한 맛을 높여 소비자의 종합적인 기호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made with red pepper that was washed and mashed. The pH of juice from Kimchi made with red pepper powder was the highest on the day of Kimchi preparation. In the case of Kimchi made with mashed red pepper, the pH of juice and liquid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samples. A similar decrease in pH of juice and liquid was observed up to the second week of fermentation, but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samples wasn't found. The total acidity of Kimchi with mashed red pepp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early fermentation, but was similar during the second week, compared with that of Kimchi with red pepper powder. From the third week of storage, both juice and liquid from Kimchi made with red pepper powder was relatively increased. L and a value of liquid was highest in the case of Kimchi made with mashed red pepper, but b value was lowest during fermentation. In the case of organic acids, acetic acid and lactic acid contents were increased in Kimchi made with mashed red pepper while fermentation progressed. In addition, citric acid content was constant up to the second week in Kimchi made with mashed red pepper but from the third week wasn't detected in both Kimchi made with mashed red pepper and Kimchi made with red pepper powder. In the case of QDA(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profiles, the values of Kimchi made with mashed red pepp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Kimchi made with red pepper powder in respect to redness, pungency and fresh flavor immediately after the preparation of Kimchi and during the second week of fermentation, but during the fifth week the values were higher in respect to redness and fresh flavor of Kimchi. Appearance and overall acceptability was remarkably increased in Kimchi made with mashed red pepper, compared with that of Kimchi made with red pepper powder immediately after pickling, during the second and the fifth week of fermentation.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shed red pepper increased more citric acid content, L and a value of Kimchi in comparison with red pepper powder, resulting in the good effects on overall acceptability due to the significant increase of redness and fresh flavor.

저자
  • 황성연 | Hwang, Sung-Yeon
  • 박소희 | Park, So-Hee
  • 강근옥 | Kang, Geun-Ok
  • 이현자 | Lee, Hyun-Ja
  • 복진흥 | Bok, Jin-Heu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