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 씨엠처리(處理)가 시호(柴胡)의 생육(生育) 및 근(根)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KCI 등재

Effect of Growth Regulator C-MH Application on Growth and Root Yield in Bupleurum falcatum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55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본(本) 연구(硏究)는 1994년부터 1995년까지 전남농촌진흥원(全南農材振興院) 특용작물(特用作物)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삼도(三島) 시호(柴胡)을 공시(供試)하여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 C-MH 처리(處理)가 시호(柴胡)의 생육(生育) 및 근수량(根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위해 실시(實施)한 시험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C-MH 액제(液劑) 살포(撒布)가 처리농도(處理濃度)가 높을수록, 살포회수(撒布回數)가 많을수록 개화기(開花期)는 점차 늦어졌으며 무처리(無處理)에 비하여 개화(開花)가 17~21일 지연(遲延)되었고 화아분화(花芽分化)가 억제(抑制)되어 주당(株當) 화경수(花莖數)의 감소효과(減少效果)가 있었다. 2. C-MH 액제(液劑) 2,000ppm 살포농도(撒布濃度)로 하여 처리시기(處理時期)는 초장(草長)이 30cm 및 40cm일때 2회(回) 살포(撒布)하면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초장(草長)은 15.2cm 짧아졌으나 주당(株當) 분기수(分枝數)가 3.0개로 많아졌으며, 규근장(圭根長) 3.8cm, 규근경(圭根徑) 0.65mm 및 주당(株當) 기근수(支根數) 3.0개(個) 정도로 지하부(地下部)의 생장량(生長量)이 증가(增加)되었다. 3. 건근(乾根) 수량(收量)은 초장(草長)이 30cm및 40cm인 시기에 C-MH액제(液劑) 2,000ppm 농도(濃度)로 2회살포(回撒布)하였을 때 상근중(上根重) 비율(比率)이 10% 높아 전체적인 개체(個體) 생육량(生育量)이 많아 근부(根部)의 비대(肥大)로 무처리(無處理) 65kg/10a에 비하여 27% 증수(增收)를 가져왔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d the effect of choline salt of maleichydrazide (C-MH) application on growth and root yield components of Bupleurum falcatum L. Flowering was delayed by C-MH application 17~35 days. Twice application was more effective to delay flowering. Application of C-MH 2,000ppm at 30cm to 40cm of plant height reduced plant height 15cm, but increaced highly branches and the growth of root. The dried root yield per 10a was 27% higher in twice application of C-MH 2,000ppm than control plot.

저자
  • 김명석 | Kim, Myoung-Seok
  • 박규철 | Park, Gyu-Chul
  • 정병준 | Chung, Byoung-Jun
  • 박태동 | Park, Tae-Dong
  • 김상철 | Kim, Chang-Chul
  • 심재한 | Shim, Jae-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