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나물용 콩 품종의 종실 및 콩나물 함유 Isoflavone 변이 KCI 등재

Variations of Isoflavone Contents in Seeds and Sprouts of Sprout Soybean Cultiva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62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우수한 기능성을 가진 나물콩을 생산하기 위하여 isoflavone함량이 높은 품종을 선발하고, 재배적 방법에 의한 원료콩 종실의 isoflavone함량의 증진 가능성을 조사하는 한편, 콩나물의 재배 일수에 따른 콩나물 부위별 isoflavone 함량의 경시적 변화 양상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한 나물콩 21품종의 종실에 함유된 daidzein과 genistein의 총 함량은 756~1,682ug/g 으로 품종간 차이가 컸으며, 특히 익산 13호(1,682ug/g) 및 남원재래(1,500ug/g) 에서 함량이 높았다. 2. Daidzein 함량은 익산 13호(924ug/g) 및 IT 160996 (828ug/g) 에서 높았으며, genistein 함량은 익산 13호(758ug/g) 및 남원재래(756ug/g) 에서 높았다. 3. 풍산나물콩의 영양생장기에 식물생장조절제인 안티폴(2,472ug/g) 과 후라스타(2,052ug/g) 를 처리하였을 때 daidzein과 genistein의 총 함량이 대조군(1,800ug/g) 에 비하여 각각 37%와 14% 증가하였다. 4. 은하콩의 콩나물 재배일수 경과에 따른 isoflavone 함량은 자엽의 경우 변화가 미미하였으나, 배축의 경우 daidzein이 치상 후 3일까지 증가하다 4일째부터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배축의 genistein함량은 콩나물 재배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다. 5. 풍산나물콩의 콩나물 재배일수 경과에 따른 isoflavone 함량은 은하콩과 달리 자엽의 경우에는 변화가 미미하였으나, 배축의 경우 daidzein이 치상 후 1일에 5,154ug/g 까지 증가했으나 재배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배축의 genistein함량은 큰 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6. 콩나물재배 6일째부터 발생한 잔뿌리에는 isoflavone 함량이 4,416ug/g~5,232ug/g 으로 매우 높았다. 7. 고기능성 나물용 콩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원료콩 종실의 isoflavone함량이 높고, 콩나물이 식용으로 이용되는 시기까지 isoflavone함량이 크게 감소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 품종의 육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iofuctionality of soybean seeds and soy-bean products have been fortified by the uncovering of the multifuctional beneficial effects of isoflavones. As one way to fully utilize beneficial effects of isoflavones in soybean sprout is through the enhancement of isoflavone contents in soybean seeds, genetic selection for higher isoflavone and cultivational measures to increase isoflavone content in soybean seeds were attempted. Isoflavones (daidzein, gemstein) contents in soybean seeds and soybean sprouts were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otal isoflavone contents in soybean seeds ranged from 756 to 1,682~mug/g and Iksan #13 (1,682~mug/g) showed highest content among the 21 germplasms analyzed. Onetime treatment of soybean plants with Antipol or Piaster at the V4 stage yielded seeds with higher isoflavones as 2,472~mug/g~;or~;2,052~mug/g ,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by 37% and 14% than that of seeds in the control plants, respectively. In Eunhakong, Isoflavone contents of soybean sprout changed during sprouting. Daidzein content in hypocotyl increased to maximum on the third day of cultivation and decreased there-after, whereas the content changed little in cotyledon. In sprouts of Pungsannamulkong, daidzein content in hypocotyl showed a maximum level on the first day and decreased gradually thereafter but, the content changed little in cotyledon. Total isoflavone contents in lateral roots which developed on the 6th day after sprouting ranged from 4,416 to 5,232~mug/g DW.

저자
  • 김영진(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오영진(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조상균(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김정곤(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박명렬(전북대학교 생물자원과학부)
  • 윤성중(전북대학교 생물자원과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