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진동자극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The Effect of Vibratory Stimulation on Upper Function Recovery in Patients With Strok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5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동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연구방법 : 연구 기간은 2013년 12월 9일부터 28일까지 뇌졸중 발병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모든 참가자는 연구에 동의하에 선별되었다. 대상자 13명은 각각 실험군(n=7)과 대조군(n=6)으로 분배되었고, 실험군에게는 진동자극을 제공하고, 대조군에게는 진동 프로그램이 내장되어있는 SD카드를 제거하여 진동자극이 제공되지 않도록 위약중재(placebo)를 적용하였다.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진동자극기 중재는 주 5회씩 2주간 총 10회기 동안 실시하였고, 두 집단 모두 실험 기간 동안 작업치료와 물리치료를 받았다. 평가는 사전, 사후평가로 총 2회 진행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상지운동기능(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강직(spasticity), 손 기민성(hand dexterity), 감각기능(sensory function), 그리고 3차원 동작분석을 이용한 움직임의 질을 평가하였다. 결과 : 중재 결과, 실험군에서는 팔꿉 관절 움직임의 순발력과 정적 두 점 식별 감각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p<.05), 상지운동기능, 손기민성, 강직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p>.05). 대조군은 중재 전, 후로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집단간 비교에서는 중재 전엔 실험군과 대조군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5), 중재 후, 실험군에서 팔꿉 관절 움직임의 순발력과 정적 두 점 식별 감각이 대조군 보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결론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진동자극을 장기적으로 제공하자 대상자의 환측 팔꿉관절의 움직임과 감각기능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추후의 연구는 진동자극을 보다 기능적으로 활용하여 일상생활에 실제로 응용할 방법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bratory stimulation on upper function for patients with stroke.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13 stroke patients. They were divided into 2 groups; 7 experimental subjects and 6 control subjects. Vibratory stimulation was applied to experimental group five times a week for two-week period. To evaluate the changes in upper motor function, spasticity, hand dexterity, and sensory function, Fugl-Meyer Assessment, Modified Ashworth Scale, Box and Block Test, two point discrimination, and monofilament was used. Motion data was collected during reaching task of hemiside using 3D motion analysis system. Results : In experimental group, the dexterity of elbow joint and static two point discrimination sensitivity were statistically improved (p<.05), whereas upper motor function, hand dexterity, and spasticity were not significantly recovered (p>.05). In between-comparison, while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 pre-test, dexterity of elbow joint and static two point discrimination sensitiv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post-test (p>.05). Conclusion : After the intervention,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vibratory stimulation showed improvement in dexterity of elbow joint and static two point discrimination sensitivity than control group who wasn’t given vibration.

저자
  • 유은영(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Yoo, Eun-Young
  • 박지혁(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Park-Ji-Hyuk Corresponding author
  • 김영조(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Kim, Yeong-Jo
  • 김재남(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Kim, Jae-Nam
  • 조상윤(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Cho, Sang-Yoon
  • 이보미(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Lee, Bo-Mi
  • 김선호(영광병원 작업치료실) | Kim, Sun-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