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近代 言論媒體와 漢字 · 漢文 敎育의 한 樣相 KCI 등재

Modern Media and a Pattern of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Writing Education ‐Focused on Sinmungye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3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20세기와 함께 시작된 근대는 한반도에 상당한 충격과 함께 급격한 변화를 요구하였다.특히 ‘근대 국민 국가 건설’의 명제 앞에 수많은 시행착오와 갈등이 예고되었다.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민의 각성과 계몽이 필요하였으며,여기에 표기 체계의 전환이 시급한 문제로 대두하였다.즉 ‘한문(漢文)’으로 대표되던 사대부(士大夫)중심의 질서체계는 ‘한글’을 통해 근대 지식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재편될 필요가 있었다.이 과정에서 ‘문장(文章)․진문(眞文)’의 지위를 점하던 문자 체계는 ‘한자․한문’으로 격하되고 폐기될 위기에 처하였다. 하지만 이는 일순간에 역사 속으로 사라질 수 없었다.대신 한문은 근대 학문 제도 안에서 교과서를 통해 교육되는 교과의 하나로 위상이 변경되었다.그 변화의 과정은 상당히 지난했는데,근대 언론매체의 한자․한문 연재란을 통해서도 이러한 문자 체계 변모의 한 과정을 볼 수 있다.이점에서 일본인 다케우치(竹內錄之助)가 1913년부터 4년간 발행한 新文界 에 연재된 한자․한문 연재는 주목을 요한다.근대의 표징인 ‘잡지’라는 매체는 대중성과 함께 공공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신문계 에는 樂齋權寧瑀의 虛字소개,厚齋生朴麟宗의 「漢字의 字解」와 함께 배재학교 교사였던 姜邁의 「漢文新講話」가 한자․한문 교육을 위해 연재되었다.특히 강매는 한문을 근대 어문 문법 체계의 형식으로 소개하고,이후 漢文法提要 로 출간하고 있다.본고는 언론매체인 신문계 를 통해 한자․한문 분야가 근대 학문의 하나로 자리 잡기 시작하는 한 양상을 살펴보았다.

The modern age that started with the opening of the 20th century demanded huge shocks and changes throughout the world. Particularly in East Asia dominated by China, it was foretold that the Korean Peninsula would go through countless trials and errors as well as conflicts in the face of task 'the construction of a modern nation.' For this task, first of all, the people needed to be awaken and enlightened and this required the urgent switchover of the writing system. That is, the order centering on high officials represented by 'Chinese writing' needed to be restructured to the sharing of modern knowledge through 'Hangeul'. In this course, the East Asian letter system, which had been in the position of 'sentence– true language', was degraded to 'Chinese character Chinese writing' and was on the verge of being thrown away. However, it could not fade away in history in an instant. Instead, the status of Chinese writing was changed to a subject educated through textbooks in the modern curricular system. This process was extremely difficult, and the serial columns of Chinese character‐Chinese writing in modern media show the transition of the letter system. In this sense are noteworthy the columns of Chinese character‐Chinese letter published in series by Japanese Takeuchi in Sinmungye, which was issued for 4 years from 1913. It is because 'magazines', the symbolic media of the modern age, had both popularity and publicness. For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ritings, Sinmungye published in series Descriptive Chinese Characters by Nakje Kwon Yeong‐woo, Glossary of Chinese Characters by Hujaesaeng Park In‐jong, and New Lectures on Chinese Writings by Kang Mae, a teacher at Baejae School. In particular, Kang Mae introduced the modern grammar system of Chinese writing and published An Introduction to Chinese Grammar. The present study examined a pattern of the Chinese character‐Chinese writing curriculum, which has been settled as one of modern disciplines, through Sinmungye, one of modern media.

목차
Ⅰ. 표기 체계의 변동과 ‘漢文’
Ⅱ. 新文界 의 성격과 어학관련 기사 연재
Ⅲ. 한문 연재란의 내용과 성격
Ⅳ. 근대적 문법 체계와 「漢文新講話」
Ⅴ. 「漢文新講話」의 저자 姜邁- 결론을 대신하여
저자
  • 신상필(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 Shin, sang-ph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