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게를 둘러싼 지역 경합의 구도와 전개과정- 영덕과 울진의 ‘원조대게’ 논쟁을 사례로 -

The Composi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Regional Competition for Snow Crab- A Dispute about 'Original Snow Crab' of Yeongdeok and Uljin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07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ies Kangnam University)
초록

이 글은 지방자치제의 시행으로 변화한 한국 사회의 여러 지형 가운데 특산품의 사회적 생산 과정에 관심을 두고 있다. 지방자치제 이후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인물, 역사적 사건, 민속, 경관, 특산품 등을 지역 상징화하며 홀로서기를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지역간의 이해관계가 발생할 때에는 지역과 친연성을 강조하기 위한 다양한 담론들을 생산했다.이 글에서 관심을 갖는 ‘원조대게’ 논쟁의 경우 영덕과 울진에서 지역의 특산품인 대게를 상징화하는 과정에서 불거졌다. ‘원조대게’ 논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 두 지역에서 펼친 전략은 크게 ‘역사만들기’, ‘마을만들기’, ‘축제만들기’로 요약된다. 먼저 역사만들기 과정에서는 문헌, 민속, 구술, 생활사 등을 발굴하거나 재해석하며 대게의 역사성과 정통성을 드러내려 했다. 다음으로 마을만들기 과정에서는 역사만들기를 통해 생산한 성과들을 바탕으로 ‘대게의 고향’을 만들면서 신화적 공간을 구축했다. 이어서 축제만들기의 과정에서는 각종 담론들을 담아내고 새로운 전략을 선보이는 장으로 활용했다. 이처럼 두 지역에서 대게를 품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펼친 행보를 통해 특산품이 사회적 생산과 의미화 과정을 살필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local government system was introduced, most regions have attempted to achieve independence by symbolizing their region with well-known figures, historic events, folklores, landscapes, and local products. When the conflict of interests between regions occurred during the process, diverse discourses arose to emphasize a region and local area connection.A dispute about ‘original snow crab’ herein in the article rose during the process while Yeongdeok and Uljin symbolized snow crab, a local product of the regions. For a favorable position in the dispute over ‘original snow crab’, the two regions worked out strategies such as ‘history making’, ‘village making’, and ‘festival making’ as follows.Firstly, the process of ‘history making’ aimed to show historicity and legitimacy of snow crab by discovering and reinterpreting literature, folklore, oral statement, and a life history. Secondly, the process of ‘village making’ aimed to construct mythic space by creating ‘snow crab's hometown’ based on productive achievements through the ‘history making’. Finally, the process of ‘festival making’ aimed to use a festival as a space to contain diverse discourses and present new strategies. This will examine the social production and symbolizing process of the well-known local product through the moves performed to draw snow crabs into the two regions.

목차
1. 머리말
2. ‘원조대게’ 논쟁의 배경과 시작
3. 대게의 혈통 강조와 ‘역사만들기’
4. 신화적 공간의 구축과 ‘마을만들기’
5. 담론과 전략의 대중적 나눔과 ‘축제만들기’
6. 맺음말
저자
  • 이중구(안동대학교) | Lee Jung G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