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변녹화용 자생식물의 수질정화능력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Water Purification Ability of Marginal Water Plants Native to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13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산업화에 따른 폐수발생으로 하천의 악화된 수질환경에 대해 지역수종 중심으로 선발된 자생식물을 통하여 하천주변의 경관을 복원하는 동시에 하천의 수질을 정화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재료는 자생지 및 재배농가에서 물억새, 흰사초, 이삭사초, 삿갓사초, 갯조풀, 줄, 갈대, 창포, 미나리, 부채붓꽃, 벌개미취, 매자기, 흑삼릉, 석창포, 눈주름잎, 버드나무, 속새, 흰갈풀, 골풀을 수집하였으며 식물을 와그너 포트에서 식물체의 뿌리부분까지 침수되도록 식재하여 5개월간 생육시켰다. 그 후 Sonneveld 양액(장미양액)을 1배액으로 관주하여 3일차, 5일차에 식물의 뿌리의 부위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T-N, T-P를 측정하였다. T-N을 흡수하는 속도는 물억새, 흰사초, 이삭사초, 갯조풀, 삿갓사초는 T50까지 2.00, 2.13, 2.18, 2.21, 2.29일로 짧은 시간동안 T-N 총량의 50%를 흡수하였으며 눈주름잎, 버드나무, 속새, 흰갈풀, 골풀은 T50까지 3.13, 3.54, 4.17, 4.51, 7.55일로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필요하였다. T-P를 흡수하는 속도는 흰사초, 물억새, 이삭사초, 삿갓사초, 갯조풀은 T50까지 1.85, 1.90, 1.90, 1.90, 1.92일로 짧은 시간동안 T-P 총량의 50%를 흡수하였으며 버드나무, 흰갈풀, 석창포, 골풀, 속새는 T50 까지 2.24, 2.25, 2.25, 2.27, 2.30일 비교적 흡수 속도가 느렸다. 식물의 종에 따라 오염물질을 흡수하는 속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수변에 수질정화를 위하여 식물을 식재할 경우 효율적인 수질정화를 위하여 식물의 오염물질의 흡수속도를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할 것이다.

Due to intensive industrialization, industrial wastewater has caused severe water pollution in marginal water. In this study, native plants of Korea, which were selected based on local vegetation in watershed were us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of landscape restoration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stream watershed. Nineteen species of native plants of Korea were selected as plant materials, planted in Wagner pots, and grown for five months. Standard Sonneveld nutrient solution was used for fertigation. At 3 and 5 days after planting, root parts in plant species grown under fertigation were sampled to assess the levels of total nitrogen(T-N) and total phosphorus(T-P). For uptake rate of total nitrogen, T50 in 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 Carex doniana SPRENG., Carex dimorpholepis STEUD., Calamagrostis pseudophragmites (HALLERF.) KOELER, Carex dispalata BOOTT. were 2.00, 2.13, 2.18, 2.21, 2.29 days, whereas those in Mazus miquelii MAKINO., Salix koreensis ANDERSS., Equisetum hyemale L., Phalaris arundinacea L.,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BUCHEN. were 3.13, 3.54, 4.17, 4.51, and 7.55 days, respectively. For uptake rate of T-P, T50 in Carex doniana SPRENG., 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 Carex dimorpholepis STEUD., Carex dispalata BOOTT., Calamagrostis pseudophragmites (HALLERF.) KOELER. were 1.85, 1.90, 1.90, 1.90, 1.92days, where T50 in Salix koreensis ANDERSS., Phalaris arundinacea L., Acorus gramineus SOLAND.,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BUCHEN., Equisetum hyemale L. were 2.24, 2.25, 2.25, 2.27, and 2.30 days,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uptake rate for pollutants depending on plant species.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uptake rate for various pollutants in plants should be considered for effective water purification once planting in watershed.

저자
  • 김재순(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Jae Soon Kim
  • 정명일(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Myeong Il Jeong
  • 한승원(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Seung Won Han
  • 장하경(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Ha Kyung Jang
  • 이상미(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Sang Mi Lee
  • 정현환(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Hyun Hwan J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