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전자형과 재배환경에 따른 검정콩 안토시아닌 함량변이 KCI 등재

Variation of Anthocyanin Contents by Genotypes and Growing Environments in Black Colored Soybea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36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검정콩 함유 안토시아닌 함량의 환경 변이 특성을 구명하 고자 검정콩의 재배 지역과 파종기를 달리하며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한 결과 안토시아닌 함량은 지역, 품종 및 파종 기 모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로는 일품 검정콩의 평균 안토시아닌 함량이 11.58 mg/g으로 제일 높 았으며, 지역에서는 연천에서 재배한 품종들의 평균 함량이 9.85 mg/g으로 제일 높았다. 파종기에서는 6월 15일 파종 이 9.00 mg/g, 5월 30일 8.36 mg/g, 5월 15일 8.24 mg/g으 로 나타나 만식재배가 안토시아닌 함량 제고에 유리할 것으 로 판단되었다. 검정콩 안토시아닌의 색도와 안토시아닌 함 량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L (명도)과 b (적색도)값은 안토 시아닌 개별색소 및 총 안토시아닌 함량과 고도의 부의 상 관을 보인 반면, a (적색도)값은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내 었다. 검정콩 안토시아닌 함량과 기상요인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품검정콩과 청자콩은 평균기온 및 적산온도와 부의 상관, 평균일교차와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안토시 아닌 고함유 검정콩 생산을 위해서는 등숙기간 중 평균기온 이 낮고 일교차가 큰 지역에서 생산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 로 판단되었다.

Variation of anthocyanin contents were analyzed by different growing environments, three locations over three years with 3 black colored soybeans. Anthocyanin conten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rowing location, genotypes and planting time, so it can be concluded that anthocyanin content was effected by environmental and genetic variation. Planting date seemed to have a much greater influence on anthocyanin content than cultivar and location. Among different planting dates, anthocyanin contents increased in the seeds planted on June 15 rather than did May 30 and May 15. Compared with 3 cultivars and 3 locations, Ilpumgeomjungkong and Yeonchun had higher contents such as 11.58 mg/ and 9.85 mg/g, respectively. The correlations between color index and anthocyanin content were analyzed by Hunter’value. L (lightness) and b (yellowness) values were correlated negatively with D3G, C3G, Pt3G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 while a (redness) value was correlated positively. The correlations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anthocyanin content were analyzed. Anthocyanin content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mean temperature and accumulated temperature whereas mean daily temperature differ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e could conclude that the area in which mean temperature was low and daily temperature difference was high is good for attempts to improve black soybean seed quality by the increase of anthocyanin contents.

저자
  • 황인택(순천향대학교 의료생명공학과) | In-Taek Hwang
  • 이주영(순천향대학교 의료생명공학과) | Joo-Young Lee
  • 최병렬(경기도농업기술원) | Byung-Ryul Choi
  • 이은섭(경기도농업기술원) | Eun-Seop Lee
  • 김용호(순천향대학교 의료생명공학과) | Yong-Ho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