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다문화 태도 및 다문화 효능감의 관계 KCI 등재

Relationships between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attituee and multicultural 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3758
  • DOIhttps://doi.org/10.14328/MES.2014.12.31.16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다문화교육연구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한국다문화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KAME))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태도 및 다문화 효능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6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였으며, B와 U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 간호학과 학생 2, 3, 4학년 2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다문화에 대한 인식 정도는 평균 3.55(.43)점, 다문화 태도는 평균 3.70(.57)점, 다문화 효능감은 평균 3.87(.50)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인식은 성별, 다문화관련 기사 관심, 해외체류 경험, 다문화권 출신 친구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다문화 태도는 학년, 다문화관련 기사 관심, 해외체류 경험, 다문화권 출신 친구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다문화 효능감은 학년, 다문화관련 기사 관심, 해외체류 경험, 다문화권 출신 친구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 인식은 다문화 태도(r=.681, p<.001), 다문화 효능감(r=.601, p<.001)과 정상관관계가 있었고, 다문화 태도는 다문화 효능감(r=.658, p<.001)과 정상관관계가 있었다.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다문화 태도(β=.449, p<.001), 인식(β=.268, p<.001), 학년(β=-.100, p=.030)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영향 요인들이 다문화 효능감을 50% 설명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 및 태도 함양을 통하여 다문화 효능감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wareness, attitude and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with 258 nursing students from 2 Department of Nursing. Data were collected in June-July 2014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ean scores for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efficacy were 3.55±.43, 3.70±.57 and 3.89±.52 respectively. Multicultural aware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attitud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multicultural efficacy. I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factors that influenced multicultural efficacy were multicultural attitud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grade. These variables explained about 50% of the total variance of multicultural efficacy. It is significant to understand the impact that factors in the state with little research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Significance was also important to present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on this basis.

저자
  • 김남희(동의대학교) | Kim, Nam-Hee
  • 임선영(춘해보건대학교) | Lim, Sun-You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