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융합 디자인의 6가지 요소 교육 연구 KCI 등재

Education of 6 Elements for Convergence Desig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30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1919년 발터 그로피우스(Gropius, W. A. G.)에 의하여 창립된 바우하우스의 설립이념은 예술과 기술을 같이 교육 하는 것이었다. 산업사회의 환경에 맞는 관련 분야의 교육을 함께 하였다는 측면에서 최초의 디자인 교육 기관이 되었다. 이후 20C가 경제성, 대중성, 합리성 중심의 디자인이라면 21C는 개인과 소수의 가치 경험을 중심으로 디자인 영역이 확산되고 있다. 일반적 가치가 지배하는 사회적으로 변화하면서 소비자들의 요구는 더욱 세분화되고 변화가 빠르다. 그러므로 디자인은 시대를 대변하는 새로운 가치의 발견과 표현을 통한 사용자에게 동감을 통한 가치가 확산된다. 확산을 위한 디자인 작업은 관련된 전문가와 협력을 통한 하나의 결론을 만들어가는 과정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관련 학문의 융합을 통한 Biz의 단계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융합디자인의 6가지 요소의 경영이념, 브랜드, 마케팅, 소비자, 기술, 스타일을 학습하기 위하여 대학의 수업을 관련대학과 기업의 전문가들을 통한 교육을 적극적으로 하면서 산학 중심으로 습득하는 과정을 제안하였다. 가치융합디자인Biz 교육체계를 통한 졸업 전에 벤처나 기업의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지도록 하는 교육 과정을 체계화하여 제안 하였다. 본 연구가 융합의 6가지 요소 중심의 디자인대학 교육에 기초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foundation concept of Bauhaus that was established by Walter Adolph Georg Gropius in 1919 was to educate art in company with technology. It became the first design education institute in the aspect that education of a related field proper for the environment of an industrial society was conducted as well. Afterward, if there were design at the center of economic feasibility, publicity and rationality in the 20th century, a design realm proliferates focusing on value experience of an individual and the minority in the 21st century. The demands of customers become more segmented and its changes are rapid as a society that general value dominates changes. Therefore, the value of design spreads through compathy to users through discovery of new values and its expression that represents the age. The design work for diffusion shall be a process making a result through collaboration with related experts. Therefore, the stages of Biz through the fusion of related studies were concretely identified. In order to study 6 elements for fusion design together such as management ideology, brand, marketing, consumers, technology and style, a process to acquire classes focusing industry-academy is suggested with educating classes of a university actively through related universities and experts of companies. A curriculum that can enable students to have the capability to solve practical problems of a venture or a business before graduation through value fusion design Biz education system is also suggested. It is intended to identify that the center of 6 elements for the fusion through these processes could be the base of education in a design university.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방법과 범위

2. 가치와 융합 중심의 디자인Biz
 
3. 융합 디자인의 6가지 요소
  3.1. 기업의 경영이념 체계
  3.2. 사업별 브랜드와 마케팅 전략
  3.3. 소비자 유행과 요구
  3.4. 구매 요소 중심의 기술
  3.5. 디자인 전략

4. 융합디자인 교육

5.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조은환(백석대학교 디자인영상학부 교수) | Cho, Eun Ha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