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oted Mountain Culture and Confucian Development in Joseon Dynasty
한국의 명산문화와 조선시대 유학 지식인의 전개
이 글은 한국 명산문화의 정체성을 인문지리적인 관점에서 탐구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명산문화의 개념 정의, 사상적 배경 및 구성 요소, 역사적 기원과 형성 유형을 살펴보고,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명산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중 심으로 유학적 명산문화의 전개와 의의 등을 주요 논제로 고찰하였다. 조선조 유학사상은 한국 명산문화의 인문적 발전을 이끌고 명산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바꾸었다. 道學者들에게 있어 명산경관은 天地動靜의 이치를 體現하 고 있는 공부텍스트이자 觀物察己의 유학적 存養 장소가 되었다. 그들은 명산 의 장소이미지를 인간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名山과 名儒의 이미지를 결합시켜 표상하였다. 實學者들에 있어 명산의 산수는 可居地 생활권의 한 입지 요건이 되었고, 명산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의 노력이 뒤따르게 되어 名山誌가 저술되 었다. 白頭大幹과 관련하여 명산에 대한 인식의 提高가 이루어졌고 국토의 祖 宗이 되는 명산으로서 백두산이 주목되었다.
This paper researches the noted mountain culture from a human geographical view; the definition and concept, the background of thoughts, the constitutional elements, the historical origin and pattern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Korean mountain culture. Particularly, it examines the Confucian recognitions and attitudes on the noted mountain in Joseon dynasty period, Korea. Joseon Confucianism led the noted mountain culture toward humanistic way and changed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the noted mountain as well. The landscape of the noted mountain became a text that presented the fundamental order of Confucian nature and was a Confucian place for cultivating their morality and orignal character. They humanized the place image of the noted mountain and united the image of the noted mountain and the famous Confucian. The noted mountain became a element of location that typified the ideal place for dwelling to them, according to that, it sequently brought to conclusion by published books of the noted mountain's topography. Also, it was improved for the recognition of the noted mountain concerned about the Baekdudaegan(白頭大幹) Mountain Range and Baekdu Mountain was deemed as a head of the territory by Confuci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