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완도지역 붉가시나무 임분의 솎아베기 강도에 따른 식생구조의 변화 KCI 등재

Development of Vegetation Structure by Thinning Intensity of Quercus acuta Stands in Wando Reg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5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완도수목원 내 붉가시나무 천연림에 대한 솎아베기 강도에 따라 임분의 식생구조 변화를 분석하였다. 붉가시나무림 솎아베기 대상지에서 24과 33속 36종이 출현하였다. 그 중 대조구의 교목층 에서 타 처리구에 비해 출현종수가 많았으며, 아교목층 이하에서의 출현종수는 솎아베기 강도구, 약도 구, 대조구 순으로 나타났다. 식생 층위별 중요치 분석 결과, 교목층은 붉가시나무, 아교목층은 붉가시 나무와 동백나무의 중요치가 높았으며, 관목층에서는 동백나무가 주로 우점하고, 초본층은 마삭줄이 우 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 다양도 분석 결과는 솎아베기 강도구가 가장 높았고, 약도구, 대조구 순으 로 나타나, 솎아베기가 하층 식생의 경쟁을 유도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산림관리와 생물다양성의 보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inning intensity on the changes of vegetation structure in Japanese Evergreen Oak(Quercus acuta Thunb.) stands in Wando-arboretum. The flora were composed of 24 families, 33 genera, and 36species in thinned sites. The dominant layer of control site showed higher number of plant species than that of treatment sites. On the while, the sub-dominant layer, shrub layer, and herbaceous layer treatment sites showed higher number of plant species than control sit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mportance value, Q. acuta in the dominant layer, Q. acuta and Camellia japonica in sub-dominant layer, and Camellia japonica in shrub layer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values, respectively. The importance value of Trachelospermum asiaticum was the highest in the herbaceous layer. According to the results, species diversity was higher in descending order of heavy thinning, light thinning, and control. This result could be explained by increased light transmissions from higher thinning intensity than in other treatments. In this contex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ful for selecting appropriate tending methods in terms of forest management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저자
  • 박준형(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Joon Hyung Park
  • 주남규(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Nam Gyu Ju
  • 유병오(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Byung Oh Yoo
  • 이광수(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Kwang Soo Lee
  • 유석봉(전라남도 산림자원연구소) | Seok Bong Yoo
  • 정수영(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Su Young J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