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역동적 인간복지(Human Welfare) 논리 개발과 전략

Logics of Dynamic Human Welfare:Development and Strateg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6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우리사회가 지속가능한 복지사회의 염원과 복지국가를 추구하고 있지만 온갖 사회문제에 직면해 위험사회와 불확실성의 사회로 급속하게 변하고 있는 가운데 문제 해결의 복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이 해결의 실마리는 인간복지실천에 있다. 인간복지실천은 인간과 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실천적이면서 가치지향적인 접근에서 출발한다. 특히 위험사 회의 사회변동 다양성과 가치변화에 따른 개인의식의 혼돈, 현대사회의 특수성을 이해하 고 복잡성을 헤쳐나갈 다학제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적 영역이 많이 확장되었고 학문적 깊이 역시 간학문적 접근으로 사회복지 전문성은 정신분석학에 뿌리를 두었다. 인간 의식과 행동의 현상학적 측면을 대상으로 한 기존 심리학의 한계에서 근본적인 정신현상인 무의식을 발견하면서 오늘날 인간복지실천의 바탕을 형성하여 왔다고 본다. 그러나 신프로이트학파와 프랑크프루트학파의 비판에 의해 현대적 의미의 정신분석학 거대담론은 사회복지영역에서 시대 변화에 따른 전문성과 이론적 토대가 요구되기 때문에 정신분석을 새롭게 조명하여 인간복지실천의 이론적 체계 및 역동적 논리 개발을 통한 새로운 전략이 요구된다. 또한 인간과 사회는 과학기술 문명으로 끊임없이 역동적으로 진보하는데 특히 ICT사 회 가속화는 기계와 인간이 공존하는 새로운 특이성의 세계를 추구하면서 위험사회의 위기는 더욱 인간의 불안을 조성하고 있다. 기계화와 자동화 등으로 현대사회를 살아가 는 인간의 사회생활은 원자화되었기 때문에 인간복지의 실천은 더욱 강조된다. 우리 인간은 고도의 지능을 가지고 내면적 세계와 자연환경과 인위적인 사회라는 공간에서 상호작용하는 유기체이다. 러시아의 심리학자 비고츠키는 생각을 내면화한 그것 자체의 역동성을 가진다는것 을 발견하여 새로운 심리학적 사고와 연구모형을 제공했다. 인간성장을 구성하는 복잡한 변화들에 대한 이론은 인간의 내면적 성장이 단지 단편적인 변화들의 점진적인 축적이 아니라 주기성, 여러 기능들의 발달에서의 불균등성, 변형(metamorphosis), 혹은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의 질적인 변화, 외적요소와 내적요소의 합성, 적용 과정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복잡한 변증법적 과정이라고 주장하면서 인간의 진화적 변화와 사회적 변화를 모두 통합했다. 구체적으로 인간의 자기 이해에서 출발하여 자기발전 및 자아실현을 위한 창조적인 정신활동을 실천하여 인간 본연의 내적 확신 혹은 내재적 동기를 찾고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본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21세기 인간사회는 실존 상황에서 극적이면서 아직 예견되지 않은 변화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들로 인한 인간복지 영역의 전문성이 더 요구되고 있다. 특히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사회 전반의 융복합시스템으로 급하게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인간복지실천의 논리와 전략으로 인간의 실존적 개념의 재해석이 인간 복지 차원에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정신분석학의 현대적 의미와 인간의 기본적 필요 충족을 위한 실존적 개념의 인간치유기술인 의미치료(Logo Therapy)와 실존치료(Existential therapy) 그리고 긍정심리치료(Positive Psychology Therapy) 등 휴먼서비스는 인간복지실천 영역에서 전문성과 이론적 틀을 구축하여 위험사회와 불확실성 사회에서 개인과 사회의 역할을 규명하는 논리와 전략이 필요하다. 개인이 사회에 의해 형성되고 인간의 실존 그 자체가 사회의 형성과 그 사회의 역사적 발전에 토대가 된다는 엄연한 사실에서 인간의 진정한 복지를 실현해야 할 것이다.

Now, South Korean society longs for a sustainable welfare society and pursues a welfare state, but faces a variety of social issues, turning rapidly toward the society of risk and uncertainty. These emerging situations require multilateral approaches to any solution of questions. A possible clue for the solution lies in the practice of human welfare. The practice of human welfare starts from practical and value-oriented approaches to human being and society. In particular, it may involv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finding out a solution for complexity by understanding any confusion of individual consciousness an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our contemporary society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change, diversity and value shift in risk society. In multidisciplinary aspect, social welfare specialty based on psychoanalysis has played a key role in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It could be a foundat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s after it found ‘unconscious’, a fundamental mental phenomenon in the boundary of conventional psychology that focused on phenomenological aspects of human consciousness and behavior. However, it is required to develop any flexible specialty and theoretical foundation on the basis of criticisms from neo-Freudian and Frankfurt school. That is why we need to newly spotlight psychoanalysis and establish a new strategy by developing a theoretical system and dynamic logics of human welfare practice. In addition, human being and society have entered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society where human being coexists with machine owing to development of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In pursuit of a new specific world, we face an ever-accelerated crisis of risk society. Owing to mechanization and automation, our social life in contemporary society became further atomized than ever, so it requires underlining the practice of human welfare. As human being, we are an organism that has advanced intellectual abilities enough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in inner world as well as outer (spatial) world like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society. Lev Vygotsky, a Russian psychologist, found that internalized thinking could be dynamic in itself, so he provided a new psychological thinking and research model. Based on theories about complex changes comprising human growth, he maintained that inner growth of human is not simply a gradual accumulation of fragmented changes, but a complicated dialectical process that is characterized by periodicity, disproportionate development of functions, metamorphosis (or qualitative change from a form to another form), synthesis of internal and external elements, and application process. This way, Vygotsky synthesized human evolutionary changes with social changes all around. In details, he thought that those changes of human being start from their self-understanding, so they may practice creative mental activities for self-development and self-realization, find out any natural inner confidence or internal motivation in human being, and exert their potential power. In this context, our contemporary hum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faces dramatic but unforecast changes that human being has to undergo as existential being. Also, these changes have more demands for specialty in human welfare. Particularly, our contemporary society turns rapidly and overall into a system of convergence that encompasse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so re-construction about existential concepts of human being becomes more underscored on the rise as a part of logics and strategy for human welfare practices. Thus, we need to establish certain specialty and theoretical framework in the field of human welfare practices differentiated with contemporary implications of psychoanalysis as well as human services, which involve human healing techniques based on existential concepts for satisfying fundamental needs of human being (e.g. logo therapy, existential therapy and positive psychology therapy), so that we may develop logics and strategy to make clear possible roles of individual and society in our society of risk and uncertainty. Hence, it is important for us to achieve a real welfare of human being in that individuals are formed by society and the existence of human being itself becomes an essential foundation for our society to form and develop historically.

목차
Ⅰ. 서 론
Ⅱ. 위험사회의 인간복지실천 이론적 구조
Ⅲ. 인간 중심의 적정기술과 치유기술의 정립
Ⅳ. 위험사회의 인간복지실천기술 함의점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신상수(세계사이버대학 노인복지학과 교수) | Shin, Sang-S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