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전 소재 학생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과 시지각능력의 조사 KCI 등재

Survey of the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Visual Perception in Students who live in Daejeon c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2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주의산만, 과잉행동 및 충동성을 특정으로 하는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과 독서능력 및 시지각능력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초 · 중 · 고교생 각각에 대한 주의력결핍 · 과잉 행동과 시지각능력 요소들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전지역 초 · 중 · 고교생 1 , 177명을 대상으로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과 시지각능력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 한 후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은 시지각영역 I( 독서능력 빚 독서시 불편한 증상)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초등학생 r = 0.347 p < 0.0001, 중학생 r = 0.458 p < 0.0001, 고등학생 r = 0.495 p < 0.0001), 시지각영역 II( 광과민성, 주변인식능력, 입체감)와도 유의한 상관 성 을 보였다(초등학생 r = 0.380 p < 0.0001, 중학생 r = 0.571 p < 0.0001, 고등학생 r= 0.514 p < 0.0001). 시지각영역 I( 독서능력 및 독서시 불편한 증상)은 능력, 입체감)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초등학생 0.752 p < 0.0001, 고등학생 r = 0.735 p < 0.0001).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이 모두 정상인 군과 의심군 사이에서 초등학생은 독서능력 및 독서시 불편한 증상, 중학생은 광과민성, 고등학생은 독서능력 및 독서시 불편한 증상, 광과민성, 주변인식능력 및 입체감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독서능력의 정상군과 의심군 사이에서 주의력영역이 초 o 중 · 고등학생 모두 한 차이가 있었고, 독서시 불편을 느끼는 군과 정상군 사이에서도 주의력영역이 중 · 고등학생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주의력결핍 · 과영행동과 독서능력 및 시지각능력 사이에 상관 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지각능력의 개선 및 임상치료가 주의 력결핍 · 과잉행동을 개선시키고, 나아가 독서능력 및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ln generally,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had some characteristics as followings: distraction, hyperactivity and impulsive behavio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surve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ymptoms of ADHD and the reading and visual perception ab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ADHD and visual perception ability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pectively. Questionnaires about ADHD and visual perception ability are distributed to 1,177 stud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aejon. After this, they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the following results were achieved ADHD had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visual perception type 1 (Reading ability and related symptom) : r 二0.347 p < 0.0001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 = 0.458 p < 0.0001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r 二0.495 p < 0.0001 of high school students. And it showed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visual perception type II (Light sensitivity, Peripheral perception and Depth perception): r = 0.380 p < 0.0001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 = 0.571 p < 0.0001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r = 0.514 p < 0.0001 of high school students. The visual perception type I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visual perception type II: r 二0.524 p < 0.0001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 = 0.752 p < 0.0001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r = 0.735 p < 0.0001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responded to the visual perception type 1, the middle school students only to the Light sensitivity of the visual perception type II,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to both of the normal and suspicious group in respect to ADH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group with a normal and abnormal reading ability in the field of attention. A group with a reading difficulty and a normal group also had a difference in an area of Attention. The above results show a correlation between the ADHD and the reading and visual perception abilities. Therefore, the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find out whether ADHD can be made better by the improvement and clinical treatment of visual perception ability or not and whether a reading ability and learning ability can be enhanced or not.

저자
  • 김영미(을지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성덕대학 안경광학과) | Young-Mi Kim
  • 박형배(포천중문의과대학교 대체의학센터) | Hyung-Bae Park
  • 마기중(을지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 Ki-Choong Mah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