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안경광학 관련 개념의 연계성 분석 KCI 등재

Analysis on Conceptual Sequence Related to Optometry in Korean Science Textbook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4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제 7차 과학 교육과정과 국내 총 48종의 모든 초·중·고등 과학 교과서의 시각관련 개념을 안경광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분석 방법은 질적 연구의 문헌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7학년의 `빛`단원과 8학년의 `자극과 반응`단원에서 오목렌즈와 볼록렌즈에 의한 시력교정 내용이 중복 설명되었다. 또한 7학년 `빛`단원에서 교육과정상에서는 문제가 없었으나 실제로 교과서에서 안경렌즈를 이용한 시력 교정원리가 다루어지는 것은 개념적 비약이었다. 8학년, 10학년 및 11학년 생물Ⅰ 단원의 홍채의 명암조절과 모양체의 원근조절 기전이 너무 단순화 되어서 정확히 이해하기 어렵게 서술되었다. 5학년의 `거울과 렌즈`단원에서 빛의 퍼짐과 모임만을 관찰한 후 7학년에서 시력교정 원리를 설명하는 것은 개념 수준의 적정성을 유지하지 못했고, 7학년과 8학년의 굴절이상 및 시력교정 원리에 대한 분석도 굴절이상의 원인에 일관성이 없었고 개념 수준이 역전된 교과서도 발견되었다. 5학년의 교과서에 설명한 초점거리에 대한 표현과 7학년 8학년의 망막 상 형성 과정에서 상의 표현이 모호하게 표현되었다. 또한 상이 맺히는 과정의 설명은 너무 지나치게 단순화 되어서 마치 바늘구멍 사진기와 같았다. 7학년, 8학년, 10학년, 11학년 물리Ⅰ, 생물Ⅰ 교과서에서 근시와 원시의 원인과 안경렌즈를 이용한 시력교정원리는 일관성이 없었다. 눈의 명암조절과 원근조절 작용은 지나치게 단순화 되어 서술되었다. 각막의 굴절력을 무시하고 빛이 지나가는 경로로써 투명한 각막의 역할만을 설명하고 있었다. 결론: 과학 교과서의 안경광학 관련 개념은 물리단원과 생물단원이 연계적 구성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교과서 개발과정에서부터 충분한 협의와 검토를 통해 학습개념 수준의 적절성과 연계성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is to check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refractive error for preschool children and those who have something wrong are treated or they prevent amblyopia through the vision therapy and have their refractive error tested through the early visiual correction for normal elementary school life. Methods: For this study is from march 2nd to march 31th in 2008, and a subject of investigation is 99 children at the Kindergartens located in Namgu, Ulsan. Before the investigation, we asked their parents about children`s eating habits and behavior with a question paper. Also we investigated how parents wearing glasses will affect their children`s eye sight. Results: the parents in 30s are the most as 81% and a person who wear glasses either their father or mother is 67% and they replied they had been wearing the glasses or contact lenses since their middle or high school days. A result of children, it shows that there are 12 children with myopia or myopic astigmatism, 4 children with hyperopia or hyperopic astigmatism, 15 children with mixed astigmatism 68 children with ametropia of 99 children. it shows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eye sights and refractive error of their parents, and children`s eye sights are estimated postnatal refractive error status rather than apriority. Conclusion: Children with mixed astigmatism of children with refractive error trun up the most, and it is estimated that mixed astigmatism turn up the most in accompany with hyperopia and astigmatism, with hyperopia returing to astigmatism around 6 years old.

저자
  • 고재근(여주대학교 안경광학과) | Jae Geun Koh
  • 이혜정(여주대학교 안경광학과) | Hae Jung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