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절화용 거베라 화경의 신장 단계별 유기성분 함량과 내부조직 관찰 KCI 등재

Organic Composition Analysis and Anatomical Observation in Cut Gerbera (Gerbera jamesonii Bolus) during the Peduncle Elongation Stag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4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된 절화용 거베라 5품종의 화 경의 신장에 따른 유기성분 함량을 분석하고 화경 내부 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거베라의 수확 전의 노화 생리를 구명하고 화경 내부 구조변화를 관찰하므로 거베 라 신품종 육종 및 재배와 노화생리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화경의 신장단계별 내부 동공은 15cm의 화경에서는 동공이 나타나지 않았 으며 그 후 개화가 전개되면서 동공이 생기기 시작하여 수확 직전의 55cm 정도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동공이 있 었다. 총 당함량은 ‘Ggotmuri’ 품종에서 29.3%로 가장 높았으며, ‘Red Auction’ 품종의 수확직전 화경이 55cm 정도일 때 8.8%로 가장 낮았다. 신장 단계별로 보면, 수 확기에 가까워 질수록 화경의 상부에서는 총 당함량이 증 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중부와 하부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 타내었다. 전분 함량은 화경의 상부에서 중, 하부보다 높 은 경향이었으며, 중부와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 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상부에서 중부와 하부보다 높았 으며, 신장단계별로는 모든 품종에서 화경이 신장함에 따 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아미노산 함량은 화경이 신장 함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화경의 부위별 아미노산 함량은 상부보다는 하부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절화용 거베라의 수확 전 화경 신장에 따 른 유기성분의 함량변화를 구명하고 내부구조의 변화 양 상을 관찰함으로써 거베라 신품종 육성과 재배생리 연구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rganic composition analysis and anatomical observation in Gerbera lead to a better knowledge on the breeding techniques to create new gerbera cultivars and hybrids, and the physiology of senescence of them. Cut flowers of 5 domestically-bred gerbera cultivars with various peduncle elongation stages were investigated. When the length of the peduncle reached to 15 cm, which was growth stage I, the hollow space within the peduncle was too small to be observed. Later, however, at the stage III, 55 cm peduncle length, the hollow cavity was observed. All gerbera demonstrated different growth rate, depending on a plant part: upper part of them tended to elongate at most; while,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m showed a declining trend. According to changes in peduncle elongation stages, total amounts of organic compounds, which were sugar, starch, proteins and amino acids, were measured. The highest total sugar concentration, 29.3%, occurred in ‘Ggotmuri’ cultivar whereas, in the stage III before the harvest, the lowest total sugar concentration of 8.8% was observed in ‘Red Auction’. The amount of starch in the peduncle tended to be higher in the upper than that in middle and lower parts, and its amount showed a declining trend except for the upper part in all the bred. Moreover, the amount of protein contents in the peduncle was higher in upper part than that in middle and lower parts in all 5 cultivars, and its content largely decreased during the peduncle elongation. The amount amino acids in the peduncle increased as the peduncle was elongated and its amount in the lower part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upper part in all cultivars. These observations would suggest that gerbera showed different growth characteristics during the elongation.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초 록 
References
저자
  • 최정애(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Jeong Ae Choi
  • 손병구(부산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Byeong Gu Shon
  • 정용모(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 | Yong Mo Chung Corresponding author
  • 이병정(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 | Byeong Jeong Lee
  • 권오창(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Oh Chang 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