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동성과 신체적 활동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있어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감염병이 지속적으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공간 사용자의 심리적 안전감을 고려한 비접촉 공간 설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근접학 기반의 개인공간 이론을 반영하여 비접촉 모듈형 공간을 분석하고 설계 개념을 도출하였다. 개인공간은 친밀 영역, 사회적 영역, 공공 영역의 세 가지로 분류하였으며, 각 영역은 가까운 거리, 중간 거리, 먼 거리로 구분되는 공간적 특성에 따라 분석되었다. 이 세 가지 영역과 이에 대응하는 대인 간 거리 기반의 공간 설계 접근법을 제안하였다. 개인공간과 관련된 비접촉 공간 개념을 정의하고,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을 활용해 비접촉 모듈형 공간 설계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실제 공간 사용자들의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간 배치를 최적화할 수 있는 모델 및 설계 도구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심리적 안전감을 고려한 대인 간 거리를 중심으로 모듈 공간 계획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모델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갖는다. 향후 연구에서는 물리적 요소, 공간 사용자의 인적 요소, 사회적 요소 등 다양한 맥락 적 요인을 포괄하는 확장된 분석이 요구된다.
        4,300원
        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된 절화용 거베라 5품종의 화 경의 신장에 따른 유기성분 함량을 분석하고 화경 내부 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거베라의 수확 전의 노화 생리를 구명하고 화경 내부 구조변화를 관찰하므로 거베 라 신품종 육종 및 재배와 노화생리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화경의 신장단계별 내부 동공은 15cm의 화경에서는 동공이 나타나지 않았 으며 그 후 개화가 전개되면서 동공이 생기기 시작하여 수확 직전의 55cm 정도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동공이 있 었다. 총 당함량은 ‘Ggotmuri’ 품종에서 29.3%로 가장 높았으며, ‘Red Auction’ 품종의 수확직전 화경이 55cm 정도일 때 8.8%로 가장 낮았다. 신장 단계별로 보면, 수 확기에 가까워 질수록 화경의 상부에서는 총 당함량이 증 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중부와 하부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 타내었다. 전분 함량은 화경의 상부에서 중, 하부보다 높 은 경향이었으며, 중부와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 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상부에서 중부와 하부보다 높았 으며, 신장단계별로는 모든 품종에서 화경이 신장함에 따 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아미노산 함량은 화경이 신장 함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화경의 부위별 아미노산 함량은 상부보다는 하부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절화용 거베라의 수확 전 화경 신장에 따 른 유기성분의 함량변화를 구명하고 내부구조의 변화 양 상을 관찰함으로써 거베라 신품종 육성과 재배생리 연구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urveyed and compared the temperatures established in display stands and food surfaces for cold and frozen foods in large discount stores in Korea. The temperatures established in display stands for cold food ranged with 3.5 ± 1.8 ℃ as mean, minimum and maximum were 0 ℃ and 7 ℃ . However, the surface temperatures of cold food on sale ranged with 10.7 ± 2.9 ℃ as a mean, minimum 4.6 ℃ and maximum 18.4 ℃ . Totally, the surface temperature of cold food on sale was 7.2 ℃ , as a mean, higher than established in display stands for cold food in large discount stores in Korea. 53% of the surveyed cold foods were more than 10 ℃ in surface temperature and only 47% was less than 10 ℃ . The differences between temperatures were lowest in fruits, salads and vegetables, but highest in milk products. 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s established in display stands for frozen food showed a range with −20.7 ± 1 ℃ as a mean. However, the surface temperatures of frozen food on sale showed a range with −15.4 ±5 ℃ as a mean, minimum −28 ℃ and maximum −4.6 ℃ (included defrosting). The surface temperatures of frozen food,frozen meats, frozen processed foods and ice creams were −13.8 ℃ , −15.9 ℃ , and −16.8 ℃ , respectively. Only 32.3%of surveyed frozen foods showed less than −18 ℃ in surface temperature. In conclusion, the temperatures established on cold and frozen food display stands were less than those of cold and frozen food surfaces on sale. There was also much variation in food surface temperatures during cold and frozen food storage and sales. Therefore, a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technology use at the distribution level for cold and frozen foods will be developed.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