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고전시가에서 보여지는 오방색채에 관한 연구 -고려속요 <만전춘별사>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Study on Five Colors of Korean Classical Poetry -Focused on Korea Sockyo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425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문학과 미술의 관계는 극히 상보적이며, 자연의 이미지와 인간의 심상을 드러내고자하는 우리 인간에게 있어 정신활동의 상상력(Imagination)을 극 대화시켜주는 가장 아름다운 예술세계이다. 문학은 언어적 영역이며, 미술 은 형상적 영역이지만 문학과 미술 사이에는 공통적으로 ‘미(美)’를 추구하는 동질성을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문학은 언어예술이라는 특징을 가지며 언 어는 우리의 사상을 논술적으로 표현하는 가장 대표적인 기초체계를 이루므 로 문학은 언어의 논술적 상징을 가지고 예술적 표현을 도모한다. 거기에 반 해 미술은 인간 세계에 존재하는 표상(表象, Representation)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예술장르로서 여러 가지 미술적 기법(선, 색채, 면)에 의해 조화롭게 구성된 공간을 제시하여 우리에게 자연 또는 인간 심성의 일 상적인 모습과 깊은 내면의 현실을 드러낸다. 즉 문학은 일차적인 지각에 기 초해 감각적인 것과의 접촉이 가장 적은 예술이고, 미술은 감각적인 것과 접 촉이 가장 많은 예술이라는 차이점도 있지만 둘과의 관계는 미의 추구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그것이 지니고 있는 상징성이나 의미는 상 당히 주관적으로 해석되어지는데, 이것은 각 나라나 민족, 지역이나 문화, 그리고 역사적 배경에 따라 그 상징성은 약간씩 다르게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그런 문학과 미술적인 상보적인 관계에 입각해 우리나라 의 고전시가 중 고려속요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에서 나타나는 우리 민족의 전통색인 오방색을 찾아 드러내 보임으로서 그동안의 문학적 측 면에만 치중되어온 우리나라의 고전시가에 대한 기존의 연구 틀에서 벗 어나, 만전춘별사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에서 나오는 우리 민족의 오방색(五方色)을 연구하고자 한다. 더불어 이 연구의 결과가 고 전시를 교육하는 ‘평생교육의 장(場)’에서 오방색을 활용하여 미술을 통 한 ‘시각적 문학 교육’의 효과적인 접근까지도 꾀할 수 있도록 고전시가 의 미학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The relations between literature and the fine arts are extremely complementary, and are the most beautiful art world to maximize an imagination of mental activity to people who want to reveal image of nature and human image. Literature belongs to linguistic domain, and the fine arts belong to figurational domain, but both literature and the fine arts seek ‘beauty’. Commonly, literature has a characteristic ‘the linguistic arts’, and language makes the most representative basic system to express our thought predicatively, so literature has an eye to artistic presentation with a predicative symbol of language. However, the fine arts are an artistic genre to express a virtual space existed as the image, so reveal everyday life of natural and human image and reality of a deep inner side to us by suggesting a space structured harmoniously by various artistic techniques. That is, there is a difference that literature is the arts with the least contact with a sensible thing based the primary symbol but the fine arts are the arts with the highest contact with a sensible thing. However, the relations between literature and the fine arts have something is common like the pursuit of beauty. In addition, its symbolism or meaning is subjectively interpreted, and each symbolism is slightly different according to each country or race, area or culture, and historical background. Based on this complementary relations between literature and the fine arts, this thesis departs from an existing frame of study about classical poetry in this country that has focused on the literary side by finding and revealing five colors that are the traditional colors of this country showed in Korea Sockyo <Manjeonchunbyeolsa> of classical poetries in this country, so desires to study the five colors of our nation showed in various sensible images of <Manjeonchunbyeolsa>. In addition, the results of research work desires to attempt aesthetic access of classical poetry to attempt effective access of a visual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e fine arts by using the five colors in a place for lifelong education to teach classical poetry.

저자
  • 신석주(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 Shin, Sukz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