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the Evaluation of Street Landscape Projects
21세기는 문화와 이미지의 시대로 도시경관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었 고 2007년 경관법 제정 이후 지자체 및 각 정부부처에서 각종 경관사업 을 시행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경관이란 ‘보여지는 풍경’이란 일차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자연생태계의 작용, 인 간의 활동 등과 관련된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 학문적 관점에서 보면 생태학, 형식미학, 정신물리학, 심리학, 기호학, 해석학, 현상학, 경제학 등 다학제적 성격을 지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문헌조사를 통하여 경관에 관한 개념과 경관 사업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고자 하며, 둘째, 경관사업을 시행했던 시범 지역을 연구대상으로 평가하고 있는 가로경관 디자인 논문 4편을 선정 하여 경관사업 사후 평가결과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셋째, 경관논문사 례의 방법론이나 연구프로세스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추후 경관디자인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경관의 개념과 학문적 영역, 경관 사업에 대한 자료와 정보를 제시함으로써 경관사업이 궁극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목적이라 할 수 있는 도시이미지의 향상과 도 시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법들을 다학제적 관점에서 모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을 기대한다.
In the 21st century, the awareness of urban landscape has spread as an era of culture and imagery. Since the enactment of the 2007 Landscape Act, local governments and government Departments have implemented various landscape projects, but many problems are still being pointed out.
Landscape implies not only the primary meaning of "scenery to be seen" but also the meaning of natural ecosystem and human activity. It is also multidisciplinary, including academic, ecological, formal aesthetics, psychophysics, psychology, semiotics, hermeneutics, phenomenology, and econom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concepts of landscape and landscape project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second, analyze the post evaluation results of the 4 case papers evaluating the pilot project area.
Third, the problem of the methodology and the research process of the case of the landscape paper should be derived and utilized as the basic data of the landscape design research. The value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ncept of landscape, the academic field, I hope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explore diverse ways to improve urban image and urban competitiveness from an interdisciplinary point of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