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수용자의 주관성 인식유형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A Type of User Subjectivity Perception in Art Collaboration Produc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2255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7.50.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현대의 소비자들은 창의적이고 독특한 자신만의 감성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제품을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요구에 맞추어 많은 기업들은 아티스트들과의 협업을 통하여 디자인의 개념을 한 차원 높인 감성적 아트 콜라보레이션(Art Collaboration)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다. 아트 콜라보레이션이라는 협업의 형태는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가 허물어진 21 세기 문화사업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순수예술과의 협업을 뜻하는 의미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은 오 늘날 기업의 새로운 마케팅 방법이 되고 있다. 그로 인하여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다양한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제품들이 점점 더 많이 생겨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을 위해 순수미술과 디자인의 협업을 통한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수용자들의 주관성 인식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연구의 내용으로 새로운 아트 콜라보레 이션 제품에 관한 관심과 수요 및 수용자들의 인식현상 분석을 통해 미래 제품 생산 디자인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발판 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을 통해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응답자들의 태도는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제1 유형은 ‘예술 가치 지향형’ 제 2 유형은 ‘기능성 위주의 사용자 중심 가치형’ 제 3 유형은 ‘순수미술과 디자인 의 융합형’이다. 수용자들의 주관성 인식 연구를 통해 순수미술과 디자인의 융합의 시대에 맞는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새로운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데 유효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Modern consumers prefer products that can satisfy their creative and unique feelings. In response to these trends, many companies are introducing innovative art collaboration products that promote the idea of design concept through the joint efforts of multiple artists. Collaborative art is emerging as a new paradigm of 21st century culture, and collaborative art, which means collaboration with pure art, is becoming a new marketing method for companies today. As a result, there are more and more products of various genres of art appearing today that have never been seen before. The study in question observes how collaborative art seamlessly merges pure and authentic art with successful marketing strategies. The study focuses on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future product design through analysis of interest in new collaborative art products, analysis of demand, and analysis of audience recognition of itself. The study shows that responses towards the collaborative art product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ype one is categorized as ‘Art value-oriented’. Type two is as ‘User-oriented centered on the functionality’. Finally, type three is called ’ Convergence with fine art and design’. We hope that it will serve as a valid basis for presenting new developments in the future of collaborative art products, which conform to the era of art and design.

목차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2. 아트 콜라보레이션
3. 연구 방법 및 내용
4. 결과의 해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송남이(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 Song, Nam I
  • 유보현(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 Yoo, Bohye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