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체육 성취상황에 따른 정서경험의 분류와 선행요인: 성취정서 통제-가치 이론의 관점 KCI 등재

The Classification and Antecedents of Emotional Experience According to Physical Education Situations: The Control-Value Theory of Achievement Emotions Perspectiv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35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성취정서 통제-가치이론(Pekrun, 2000, 2006)을 적용하여 체육 성취상황(수업, 학습, 시험)에 따라 학생들의 다양한 정서경험을 유발시키는 선행요소를 탐색하였다. 남녀 중학생 270명(남학생 156명, 여학생 114명)이 개방형 질문지에 응답하였으며, 자료를 위해 귀납적 내용분석이 실시되었다. 그 결과 9개의 개별 정서들(정적 활성화 정서=즐거움, 희망, 자부심; 정적 비활성화 정서=안도감; 부적 활성화 정서=화, 불안, 수치심; 부적 비활성화 정서=절망감, 지루함)을 유발시키는 주요 선행요소들이 각 성취상황의 세 가지 시간적 영역별(체육수업 이전, 중간, 이후)로 나뉘어 확인되었다. 특히, 각 성취상황에서 경험하는 학생들의 정서반응은 시간적 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그 선행요소들은 전반적으로 정서적, 인지적, 생리적, 동기적 측면들과 관련이 있었다. 본 결과는 체육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의 정서경험을 결정짓는 주요 선행요소들과 성취정서의 역할, 그 교육적 시사점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antecedents of emotional experience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situations (class-related, learning-related, and test)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using the control-value theory of achievement emotion (2000, 2006). Participants were 270 middle school students (156 males, 114 females) and responded to an open-ended questionnaire. Inductive content analyses were conducted for each of the discrete emotions that were identified through the participants` responses. Inductive analyses revealed the emergence of 4 categories and 9 discrete emotions among three achievement situations: positive activating emotion=enjoyment, hope, pride; negative activating emotion=anger, anxiety, shame; positive non-activating emotion=relief; negative non-activating emotion= hopelessness, boredom). Especially, students`` emotional responses experienced in each of achievement situation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emporal domain, but its antecedents were closely related with emotional, cognitive, physiological, and motivational aspects.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antecedents determining students`` emotional experiences, the role of achievement emotions,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자료수집
  3. 자료분석
 Ⅲ. 결 과
  1. 체육 성취상황별 정서 분류
  2. 수업관련 성취정서
  3. 학습관련 성취정서
  4. 시험관련 성취정서
 IV. 논 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중길(고려대학교) | Park Jung-Gil (Korea University)
  • 정주혁(고려대학교) | Jung Joo-Hyug (Kore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