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귀인과 후회는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한국과 중국 엘리트 수영선수들의 패배귀인과 사후가정 KCI 등재

Is Regret Experienced and Attribution Differently Across Cultures?: Comparative Study on the Failure Attribution and Counterfactual Thinking between Korean and Chinese Elite Swimming Athlet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7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엘리트 수영선수들을 대상으로 시합결과에 대한 결과귀인 및 패배 귀인과 사후가정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대상은 2016 - 2017년도 한국과 중국 수영협회에 등록된 207명의 엘리트 수영선수들이다. 결과: 첫째, 결과귀인에서 한국과 중국 선수들 모두 상대실력을 낮게 귀인한 선수들이 상향적 사후가정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선수들의 경우 자기 실력 귀인을 많이 할수록 상향적 사후가정이 많은 반면, 중국 선수들은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중국 선수들 모두 자만심 패배귀인이 높을수록 더 상향적 사후가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 선수들의 경우 팀웍 귀인이 높을수록 타인관련 상향적 사후가정을 한 반면, 중국 선수들은 팀웍과 관련해서 집단 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한국 선수들의 경우 컨디션 귀인을 할수록 하향적 사후가정을 한 반면, 중국 선수들은 타인관련 상향적 사후가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향적 사후가정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패배 귀인은 한국 선수들의 경우, 우리 실력 혹은 팀웍이고 중국 선수들의 경우 자만심과 컨디션으로 나타났다. 논의: 한국과 중국 선수들의 결과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문화적인 측면에서 논의했으며, 타당성 있는 척도 개발 및 비교문화 후속 연구를 제언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 attribution, failure attribution and counterfactual thinking on the results of the swimming competitions among Korean and Chinese elite swimming athlet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7 elite swimming athletes enrolled in Korean and Chinese Swimming Associations in 2016 and 2017. Results: The study revealed that more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occurred throughout athletes who underestimated opponents on the factor of result attribution in both Korean and Chinese athletes. On the other hand, Korean athletes who made much attribution to their own abilities showed more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while Chinese athletes made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Second, the more failure attribution to self-conceit Korean and Chinese athletes had, the more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they experienced. But Korean athletes who made more attribution to team work showed more other-referent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while Chinese athletes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groups. Also, Korean athletes showed downward counterfactual thinking when they made more attribution to condition, while Chinese athletes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referent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Third, failure attribution that took significant effects on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was revealed as team ability or team work for Korean athletes, self-conceit and conditions for Chinese athletes. Discussion: Cross-cultural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athletes' results and development of valid scales and more cross-cultural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 도구
  3. 연구절차 및 자료 수집
  4. 윤리적 고려
  5.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한중 수영선수들의 귀인에 따른 사후가정의차이
 Ⅳ. 논의
 참고문헌
저자
  • 서연희(전북대학교) | Yeon-hee Seo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황진(전북대학교) | Jin Hwa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