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소년의 작업수행과 우울, 불안 및 삶의 질과의 상관성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s’ Occup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2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 and School)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 and School)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의 작업수행능력을 알아보고 작업의 참여와 우울, 불안 및 삶의 질, 그리고 수면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14세∼19세의 중·고등학생 청소년으로 본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청소년 202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4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였다. 설문지는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과 작업활동분류, 청소년 우울, 불안검사와 삶의 질 검사로 구성되었다.
결과 : 청소년의 휴식, 사교활동에 높은 흥미점수를 보였으나 수행을 나타내는 빈도에서 는 낮은 점수를 보였다. 청소년의 작업활동 결과 휴식활동의 흥미, 빈도, 즐김점수가 높을수록 불안점수는 높게 나타났다. 지식활동의 빈도와 잘함점수가 높을수록 우울과 불안점수는 낮았고, 삶의 질 점수는 높았다. 사교활동의 잘함, 즐김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점수는 낮았고 삶의 질은 높았다. 수면시간과 우울, 불안 및 삶의 질과의 상관성 결과 휴일 수면시간이 길수록 불안점 수는 높았고 삶의 질 점수는 낮았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작업참여에 대한 흥미, 빈도, 잘함, 즐김 정도를 알아 볼 수 있었고, 휴식과 사교활동이 다른 활동에 비해 중요한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휴식과 사교활동, 수면은 청소년의 우울 및 삶의 질과 상관성이 있음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청소년의 우울, 불안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활동 요인분석과 적극적인 작업 참여를 유도한 다양한 중재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Objective : This research studies domestic adolescents occupation performance ability and intends to look at the relationships among occupation participation in depression, anxiety, quality of life and sleep.
Methods : The research subjects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age range of 14 to 19. The survey period was from 1st of August to 31st of August in 2014. The survey was composed of adolescents general characteristic, occupation activity category, adolescent depression, anxiety test, and quality of life test.
Results : As a result, they showed high interest record for adolescents rest and social activity but showed low rate in showing their performance. As a result of adolescents occupation, the higher the mark for resting activity's interest, frequency, and enjoying rate, the higher the anxiety score.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sleep time and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the longer the sleep time in holiday, the higher the anxiety score, and quality of life score was low.
Conclusion :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learn adolescents interest, frequency, goodness, and joy in occupation participation. We could also learn that resting and social activity are relatively important parts of their lives compared to other things. Furthermore, we could also study that resting, social activity, and sleep all have relationship with adolescent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방법 및 대상
  2. 연구 도구
  3. 자료 처리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청소년의 작업활동
  3. 청소년의 작업활동과 우울, 불안 및 삶의 질의상관성 비교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불안 및 삶의 질비교
  5. 청소년의 수면과 우울, 불안 및 삶의 질 비교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곽순민(메디윌병원) | Gwak Sun-Min (Dept. of Occupatioanl Therapy, Mediwill Hosipital)
  • 김진경(한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Kim Jin-Ky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Hanseo University) 교신저자
  • 이택영(한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Lee Taek-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Hanseo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