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작업 모델(Model of Human Occupation)을 중심으로 한 노인의 활동 수준과 삶의 질 KCI 등재

Quality of Life and Activity Levels in the Elderly Based on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6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노인들의 문화와 정서에 적합한 활동척도를 개발하여 남녀 노인의 활동 수준과 의미 있는 활동을 비교하고,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60세 이상 남자 노인 199명, 여자 노인 258명으로 총 457명이 참여하였으며, 노인생활만족척도를 사용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또한 노인의 활동수준은 평가를 위해 한국판 활동척도를 개발하여 연구에 이용하였다. 결과 : 노인의 수행 활동을 성별로 비교하여 볼 때 여자 노인은 수단적 일상생활을 남자 노인은 고강도 신체활동을 더 많이 하였으며, 노인의 활동과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남, 여, 전체 노인에서 수단적 일상생활, 저강도 신체활동, 고강도 신체활동, 사회활동에 많이 참여할수록 삶의 질은 높았다. 최종적으로 위계적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하여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전체 노인의 경우 연령, 건강상태, 생활수준, 노후설계 준비기간, 사회활동이, 남자 노인의 경우 건강상태, 배우자 유무, 생활수준, 노후설계 준비기간이 삶의 질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여자 노인의 경우 연령, 건강상태, 생활수준, 노후 설계 준비기간, 사회활동이 삶의 질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론 :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남녀 노인에 적합한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활동을 개발하고 1차, 2차, 3차 예방 사업에 사회활동 요소를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전국 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 노인들을 대상으로 활동 수준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작업치료적 관점에서 장애 노인을 대상으로한 활동의 변화와 삶의 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Objectiv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 investigate the activities that Korean elderly people usually participate in, (2) to compare the features of activities between male and female elderly per-sons, and (3) to clar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based on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MOHO).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199 male and 258 female elderly subjects aged 60 and over. Their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using the Older Adult Life Satisfaction Scale devised by Sung-Jae Choi, and their level of activities was measured using the Activity Check List, which was adapted for Korean culture and environment. Results : In general, the quality of life was higher in male elderly subjects than in female elderly ones, and it was also affected by age, presence of spouse, health status, level of education, present companion, financial status, and preparation period of retirement. The main activities were IADL in female elderly subjects and high-demand physical activities in male elderly subjects. As the elderly participate in more activities such as IADL, low and high-demanding physical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the quality of life was higher in both group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each activity. The factors that could pre-dict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as follows: (1) age, health status, economic status, preparation period for retirement, and social activities in both groups; (2) health status, presence of spouse, economic status, and preparation period for retirement in male elderly subjects; and (3) age, health status, economic status, preparation period for retirement, and social activities in female elderly subjects. Conclusion :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be placed on the facts that activity levels of Korean elderly persons were investigated and that their quality of lif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activities. In the fu-ture, various studie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ctivity levels and quality of life are expected for the Korean elderly nation-wide using a larger number of participant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방법
  2. 연구도구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비교
  2. 노인의 성별 활동 범주의 비교
  3. 남녀 노인별 활동 조사
  4. 노인의 활동과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5.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Ⅳ. 고 찰
 Ⅴ. 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이택영 | Lee Taek-Young
  • 정민예 | Jung Min-Ye
  • 정보인 | Chung Bo-In
  • 유은영 | Yoo Eun-Young
  • 장세진 | Chang Sei-Jin
  • 남은우 | Nam Eun-W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