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목표설정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일상생활활동과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Goal Sett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Anxiety in Acute Stroke Pati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7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목표설정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작업수행도와 만족도 그리고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사전-사후 검사 통제 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2주간 주 5회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모두 매일 30분 동안 작업치료를 받았고 치료 시간 외에 스스로 할 수 있는 병동 프로그램을 제공받았다. 실험군은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한 반면 대조군은 구체적 목표를 설정하지 않았다. 연구대상자의 실험 전-후 일상생활활동의 수행능력은 Modified Barthel Index(MBI)와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으로 측정하였으며 불안감의 측정은 State-Trait Anxiety Index(STAI)의 상태불안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 목표설정을 한 실험군이 목표설정을 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COPM의 작업 수행도와 만족도, MBI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반면 STAI의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불안감의 변화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p>.05), 실험군 내에서 10회기 동안 측정된 불안감의 변화 역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rs=.012, p>.05). 결론 :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작업치료 중재 시 목표설정은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동기를 높이고 치료 참여를 유도하여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목표설정 시 환자의 불안 요인을 반영한 추후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을 제언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oal sett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anxiety level in acute stroke patients.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10 stroke patients. The study used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to both groups for 30 minutes a session, for 10 sessions, and provided an upper-extremity self-training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et specific goal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Modified Barthel Index(MBI) and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were used to evaluate the ADL.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was used to evaluate the anxiety level preand post-experiment. Results :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BI, COPM-P, and COPM-S(p<.05 respectively) after intervention. As a result of STAI, both group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nxiety level(p>.05). During each interven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of anxiety level was not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rs=.012, p>.05).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oal setting, which improves the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of acute stroke patients during interven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ADL. We also suggest further study reflecting the anxiety factors of the patients during goal setting.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절차
  3. 연구 도구
  4. 연구 과정
  5.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중재 전 측정 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정
  2. 중재 전후 집단 내, 집단 간 비교: 일상생활 활동 수행능력의 변화
  3. 중재 전후 집단 내, 집단 간 비교: 불안감의 변화
 Ⅳ. 고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미현 | Kim Mi-Hyun
  • 손성희 | Son Sung-Hee
  • 강세진 | Kang Se-Jin
  • 이예진 | Lee Ye-Jin
  • 장해련 | Jang Hae-R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