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대 한국인이 선호한 기본도형의 의미와 유형 KCI 등재

Meaning of Basic Geometry Patterns to Ancient Koreans and Its Classifi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05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오래전부터 한국인이 애용해 온 기본 도형을 분석하여 의미와 상징성을 밝히고 그 유형을 분류하는 것이다. 선조들은 원, 네모, 세모 형태를 선호하였는데 한글에 ‘ㅇ, ㅁ, ㅅ’가 존재하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를 위해 고조선부터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복식과 유물 등에 나타난 기본 도형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도서, 인터넷 및 사진자료 등을 분석하였으며 도자기, 청동기, 복식 등 다양한 곳에 나타난 도형의 연결고리를 찾았다. 그 연구결과 첫째, 원은 하늘, 해, 달, 별, 청동거울, 얼굴 등을 상징하는데 일찍이 천문관측이 발달했던 사실과 원형제단이나 제사장의 표징인 원형 청동거울이 이를 뒷받침한다. 둘째, 땅(地)을 상징하는 것은 네모라고 보았다. 하늘과 땅신에게 모두 제사를 지냈었고 네모는 부족 공동체의 안녕과 풍요를 담은 현실을 의미하는 형태이다. 마름모형이 더 많이 애용되었는데 이는 힘을 상징하는 세모가 두 개나 들어있는 형태이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셋째, 빗살무늬 토기에서도 나타나지만 뫼 ‘山’과 사람 ‘人’ 및 모자나 마늘의 형태 또는 나 ‘厶’ 등으로부터 세모가 파생되었다고 보는데 하늘, 땅 다음으로 사람이 중요하다는 고대인의 사고에서 발생한 것으로 본다. 아름다운 유산인 기본 도형의 연구를 통해 한국역사의 오랜 전통과 정신을 이해하고 새로운 창조문화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geometrical patterns preferred by ancient Korean peoples and to classify them into some groups by their similarity. We investigated various patterns found on clothing and relics from GoJoseon to Goguryeo period, and utilized secondary sources such as history articles, Internet materials and photo and analyzed the associations of the varied patterns found in pottery, handicrafts, and clothing with the ancient cultures. We found the letters (ㅇ, ㅁ, and ㅅ of Korean alphabet, Hangul) preferred by ancestors who worshipped nature to identify the significations attached by them to particular patterns. The results confirm the following: first, the circle pattern indicated the sun, moon, stars in the sky, a bronze mirror, and a man's face. Circles and ovals were also observed to represent the individual souls of the clan or community. Second, square patterns symbolized the land and the patterns that signified the wellbeing of family and the country. Oblique rectangles were more frequently used as they represented a double use of the triangle, a shape that implied mystic power. Third, triangle symbolized regeneration, power, and humanity. While the Neolithic Age jade remnants of hair combs appear not to be irrelevant to the process of comb-shaped pottery production of the time, many fine comb-like lines may be found on bronze mirrors. Through its review of the glorious designs inherited from and established by ancient ancestors, the present research endeavor may help in identifying the spirits and traditions of Korean history.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기본 도형의 의미
    2.1. 원
    2.2. 네모
    2.3. 세모 문양
3. 유형 분류
    3.1. 원형의 유형
    3.2. 네모의 유형
    3.3. 세모의 유형
4.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
  • 박선화(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학과) | Seon-Hwa Park
  • 김지수(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의류학과) | Ji-Soo Kim
  • 나영주(인하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 Young-Joo Na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