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he Effect of Night Glare on Myopia KCI 등재

야간 눈부심이 근시안에 미치는 영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2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야간의 눈부심이 근시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20~30세의 근시안 48안을 대상으로 야간의 박명시 상태를 위해 실내 조도를 1 lx 이하로 유지하였으 며, 5분간 적응하였다. 등가구면굴절이상도 –3.25 D를 기준으로 이하인 그룹 1과 초과인 그룹 2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100 W 전구 2개를 시표 옆에 부착하여 동공 앞 조도를 측정하여 각각 2, 5, 10 lx에서 불능눈부심 (대비시력, 대비감도) 측정과 불쾌눈부심은 드보어눈부심지수를 설문하였다. 대비시력은 반전대비시표를 이용, 고 대비 100%와 저대비 25%, 10% logMAR 시력을 측정하였으며, 대비감도는 iPad 프로그램 Clinic CSF 2.0을 사 용하여 공간주파수 3, 6, 12, 18 cpd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 불능눈부심의 대비시력과 대비감도 모두 근시도가 낮은 그룹 1에서 높게 나타났다. 대비시력은 눈부심 이 발생한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0), 대비감도는 일부 공간주파수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불쾌 눈부심의 드보어눈부심지수는 눈부심이 강하게 유발될수록 감소하였다. 그룹 2가 드보어눈부심지수가 낮아 더 많 은 불쾌눈부심을 느꼈다. 5 lx의 눈부심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0).
결론 : 국내의 활발한 야간활동률을 고려했을 때 야간시력 검사를 통한 기준이 필요하며, 근시도가 높은 대상 일 경우 연령에 관계없이 눈부심에 대한 처방을 고려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ight glare on myopia.
Methods : Forty eight myopic eyes aged 20 to 30 year old were under the indoor illumination 1 lx or less for 5 minutes for the mesopic adaptation. Subjects were grouped by the equivalent spherical refraction -3.25 D. The group 1 with the refraction under -3.25 D and the group 2 with over -3.25 D were compared and analyzed. Two 100 Watt bulbs were placed by the side of the target whose illuminance at the position of subject's pupil was measured. The disability glare (contrast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was measured at 2, 5, and 10 lx and the discomfort glare was quantified by Deboer glare scale. The contrast acuity was measured by Reverse- Contrast chart at 100%, 25% and 10% of contrast LogMAR chart and the contrast sensitivity using the iPad program Clinic CSF 2.0 was measured at 3, 6, 12 and 18 cycles per degree.
Results : The contrast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of disability glare were both high in the group 1. The contrast acu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glare occurred (p<0.05) while the contrast sensitiv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a few spatial frequencies. The Deboer glare scale for the discomfort glare decreased as the intensity of glare increased. The group 2 showed more discomfort glare because Deboer glare scale was low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with the illumination of 5 lx (p>0.05).
Conclusion : Considering the trend of higher nighttime activity in Korea, it is thought that not only a standard vision test for the night and the prescription to intervene the glare is needed regardless of age.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Ⅲ. 결과 및 고찰
    1. 불능눈부심
    2. 불쾌눈부심
Ⅳ. 결 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Sang-Ho Park(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Dong-Shin University) | 박상호
  • In-Chul Jeon(Dep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Dong-Shin University) | 전인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