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등학교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 설명모형:생태학적 접근 KCI 등재

An explanatory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 ecological approa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3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기 위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의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3학년 학생 39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12월01일부터 12월22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외생변수는 가족기 능, 친구지지, 학교생활환경, 지역사회 사회자본이고 내생변수는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능력과 건강증진행위 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최종 수정모형 은 권장수준을 만족하여 가설적 모형에 비해 적합도와 간명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χ2/df=1.96, GFI=.90, AGFI=.88, CFI=.94, TLI=.93, RMSEA=.05, SRMR=.06. 가설적 모형에서 설정한 13개의 경로 중 4개는 기각되었고 9개의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들 경로에 포함된 변수는 가족기능(β=.57), 자기효능감(β=.29), 자기조절능력(β=.14), 지역사회 사회자본(β=.14), 친구지지(β=.13)로 설명력은 86%이었다. 따라서 역기능적 가정과 해당 가정의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를 위한 사회적지지 체계를 구축 하고 학교를 포함한 지역사회 환경조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construct and test a hypothetical model to explain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of 395 first-year to third-year students at a high school in Gyeonggi-do area. The exogenous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family function, friend support, school life environment, and social capital of the local community, and endogenous variables were self-efficacy, self-regulation,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and AMOS 22.0. The final model with 13 of the 9 analyzed paths showed a good fit to the empirical data: χ2/df=1.96, GFI=.90, AGFI=.88, CFI=.94, TLI=.93, RMSEA=.05, SRMR=.06.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se paths were family function (β=.57), self-efficacy (β=.29), self-regulation(β=.14), the social capital of local community (β=.14), and friend support (β=.13).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nine significant paths explained 86% of variance in the explain model. Thus, it is necessary to build up a social support system for dysfunctional familie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adolescents in the families and develop a program for creating the environment of the local community including school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1.3. 연구의 개념적 기틀 및 가설적 모형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연구 도구
    2.4.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2.5. 자료분석
3. 연구 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연구변수의 기술적 통계
    3.3. 구조모형 분석
4. 논 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강나경(중원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Na-Gyeung Kang (Department of Nursin, Jungw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