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문신 및 반영구화장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KCI 등재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attoo and Semi-permanent Makeu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6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1979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문신 및 반영구화장 관련 논문 198편을 대상으로 발표시기, 주제, 연구방법에 따라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시기별로는 제1기(1979년∼1994년), 제2 기(1995년∼2005년), 제3기(2006년∼2012년), 제4기(2013년∼2022년)로 나누었다. 제1기에는 보건의료적 측면의 연구가 주를 이루던 시기이며 제2기에는 예술, 문화 등 다양한 측면의 연구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 다. 제3기는 반영구화장에 관한 연구가 증가한 것이 특징이며 제4기는 문신 및 반영구화장의 연구가 급증 하였다. 연구주제별로는 보건·의료, 미용, 패션·예술, 사회·문화, 법·제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비 자의 선호도와 인식도 등을 파악하기 위한 미용적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보건의료적 연구가 두 번째로 많았다. 최근 법제화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법·제도와 관련한 연구들이 급증하였으며, 문화, 역사, 패션 등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연구방법별로는 조사연구 방법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문헌 연구, 사례연구 등 다양한 방법도 이용되었다. 본 연구로 향후 후속 연구가 더욱 촉진될 것이며 관련 산업 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ccording to the period, subject, and research method for 198 papers related to tattoo and semi-permanent makeup published from 1979 to 2022. By period, it was divided into the first period (1979-1994), the second period (1995-2005), the third period (2006-2012), and the fourth period (2013-2022). In the first period, research on health and medical aspects was the main focus, and in the second period, studies in various aspects such as art and culture began to appear. The 3rd period was characterized by increased research on semi-permanent makeup, and the 4th period was marked by a rapid increase in research on tattoos and semi-permanent makeup. By research topic, it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health and medical care, beauty, fashion and art, society and culture, law and system. As a result, cosmetic studies were most actively conducted to identify consumers' preferences and perceptions, and health and medical studies were the second most common. Recently, as the need for legalization has increased, studies related to laws and systems have increased rapidly, and studies on culture, history, and fashion have also been conducted. By research method, survey research were used the most, and various methods such as literature study and case studies were also used. This study is expected to further promote follow-up research in the future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2.1. 연구 자료 및 대상
    2.2. 연구의 틀
    2.3. 조작적 정의
    2.4. 자료 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연구의 시기별 분류
    3.2. 연구의 주제별 분류
    3.3. 연구의 방법별 분류
4. 결 론
저자
  • 박소연(대구한의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부, 박사과정) | Soyeon Park (Ph. D, Cours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Daegu Haany University)
  • 서은경(대구한의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부, 박사) | Eunkyung Seo (Ph. D, School of Public Health, Daegu Haany University)
  • 강성욱(대구한의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부, 교수) | Sungwook Kang (Professor,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Daegu Haany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