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79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문신 및 반영구화장 관련 논문 198편을 대상으로 발표시기, 주제, 연구방법에 따라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시기별로는 제1기(1979년∼1994년), 제2 기(1995년∼2005년), 제3기(2006년∼2012년), 제4기(2013년∼2022년)로 나누었다. 제1기에는 보건의료적 측면의 연구가 주를 이루던 시기이며 제2기에는 예술, 문화 등 다양한 측면의 연구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 다. 제3기는 반영구화장에 관한 연구가 증가한 것이 특징이며 제4기는 문신 및 반영구화장의 연구가 급증 하였다. 연구주제별로는 보건·의료, 미용, 패션·예술, 사회·문화, 법·제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비 자의 선호도와 인식도 등을 파악하기 위한 미용적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보건의료적 연구가 두 번째로 많았다. 최근 법제화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법·제도와 관련한 연구들이 급증하였으며, 문화, 역사, 패션 등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연구방법별로는 조사연구 방법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문헌 연구, 사례연구 등 다양한 방법도 이용되었다. 본 연구로 향후 후속 연구가 더욱 촉진될 것이며 관련 산업 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5,200원
        3.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문신은 인류에게 오랫동안 전승되어온 문화 형태다. 인류의 여러 문화권에서 전승되고 발전 해온 전통적인 문신 풍습은 역사, 예술,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술적으로 중요한 연구 가치를 가진 다. 두룽족은 중국 남서부 윈난(雲南)성과 근처 지역에 사는 소수 민족 중 하나로 안면문신을 위주로 하 는 ‘얼굴문신(文面)' 풍습을 가지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1949년 전까지도 원시사회 형태를 유지한 두룽족의 전통적 문화는 문자가 없는 구전(口傳)의 형태로 전해 졌으나 두룽족의 신비로운 문신 문화에 대한 보존자료가 없어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현대 문헌과 윈난성 지역 현장 탐사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얼굴문신 풍습의 정확한 이유와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966년 중국 문화 대혁명으로 금지되어서야 사라지게 되었다. 얼굴문신의 상징과 기능에 대해서는 현지 탐사과 근현대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크게 신앙숭배, 성년 의례, 심미 장식, 민족 사회 역사의 4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문신을 하는 시기는 7∼8세 부터이다. 얼굴문신은 지역에 따라 상류 여성은 비교적 복잡한 도안 으로 구성되었으며, 하류 여성은 간단한 도안으로 구성되었다. 문신은 주로 친족이 시술하며 주로 대나 무 꼬챙이와 솥바닥에서 추출한 회즙 재를 재료로 사용한다. 현재 두룽족의 얼굴문신을 한 여성은 25명 미만으로, 대부분 고령화되어 있어 수십 년 안에 모두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두룽족의 독특한 얼굴문신 문화에 대한 문서화가 시급하다.
        4,000원
        4.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hirakawa Shizuka believes that there is a tattoo custom in the Yin culture of the Chinese Shang Dynasty: people in accordance with certain etiquette, respectively, on the forehead, breasts, chest and other body parts to apply tattoos, he proved that this view is mainly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at that time. He believes that “text” is the Chinese character that represents the tattoo, “Chan (產), Yan (彥), Yan (顏)” and other words are the Chinese characters that represent people tattooed on the forehead, “Er (爾), Shuang (爽), Shi(奭)” and other words are Chinese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tattoo in the breast, and also believe that “Xiong (凶), Xiong (兇), Xiong (匈), Xiong (胸)” are the words that mean the chest tattoo (for the convenience of the writing, the following aunt called “the chest tattoo series”). Shirakawa believes that the Chinese Shang Dynasty Yin culture there is a literary custom of the view is wrong, for this, the author has written a special article to refute, is now intercepting part of it, his release of the bra series of words wrong to start the argument. The author tracks the research process of Shirakawa’s, analyzes the glyphs, contacts the word use, and draws on the relevant research results, proving that he is wrong about the composition of the bra series, the meaning of the ex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5,800원
        5.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using the theory of sociologist Jean Baudrillard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contemporary people in Korea acquiring tattoos.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consumption behavior of modern society, as described by Baudrillard in The Consumer Society, into three keyword phrases: consumption by personal taste, coded consumption, and recyclage of consumption. Using this as the premise of the study, 18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nd the results supported labeling tattoo consumption as consumption by personal taste, tattoos as coded consumption, and recyclage of tattoo consumption, similar to the consumption pattern that Baudrillard sees. First, the younger generations have consumed tattoo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preferences. They express themselves by tattooing for self-complacency, self-marking, pursuing individuality, overcoming the appearance complex, and seeking pleasure. Second, they have consumed socially coded tattoos. They say that tattoos domestically act as negative codes and symbolize individuals. Although tattoos are a symbol of artists who are relatively free from social norms, they are still a symbol of social misfits created as such by negative perceptions. Third, the pattern of tattoo consumption is like that of contemporary consumption. Tattoos already have become part of popular culture in Korea, and there has been a changing trend in tattoo cultu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attoos were regarded as a consumption behavior that deviated, from the perspective of deviance. That phenomenon of today’s tattoo culture of today was confirmed through the empirical study.
        5,200원
        6.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ost important quality of Moon-Shin's works is 'Symmetry'. That is not like the machines show because it derived from the nature, so it appears little bit different among his each works. As I figured out on my M.A paper, based on the vitalism which have been in Moon-Shin's works, this study intends to find the social meaning of materials that Moon-Shin have chosen for his works which are changed with times despite the works has similar forms. Moon-Shin has tried to express 'harmony' or 'sublime will' which can be recognized as the law of life, since he started the sculptures. After the early period of his art works which used to concrete the vital images, he wanted to express the whole perfect universal world with his sculptures. The sculpture Man of Sun(1970) which has installed in Balcares, France and Olympic1988(1980s) in Seoul, Korea are representative of this period. These two sculpture seem alike for the domed shapes, but each has completely different material such as wood and stainless steel. These difference show the various application of material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ulpture material and social background. Perpignan city, located on south part of France(current Balcares) planed to make itself as an art city standing in line with sculpture along the beach, and as a part of this plan, the sculpture symposium had hosted. Moon-Shin invited to this symposium so he made the work Man of Sun(1970) which contained the subject 'Totem', with other seven sculptors. Olympic1988(1980s) is a kind of new version of Man of Sun and it is aimed for celebrating Seoul Olympic. This work was made when Moon-Shin participated in the International sculpture Olympiad, and it has installed in Olympic Park in Seoul permanently. These two sculptures have similar forms bu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s and the location.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as that these two similar sculptures have different social meanings and give unlike sense to audiences. While Man of Sun which is made with African woods represents the oriental spirituality with the metaphor of Totem, Olympic1988 can be read as that Moon-Shin intended to show the status of Korea which has changed internationally after hosting Olympic, throughout the material, stainless steel.
        5,800원
        8.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農圃 鄭文孚의 (1565-1624)는 서울에서 태어나,어려서부터 남다른 詩才를 보이며 성장하였다. 그는 7살 때 이미 「玉顔不及寒鴉色」이란 오언 고시로 시적인 재능을 드러내 보였고,8살때 지은 「初月」은 황진이의 詠半月로 와전되어 사람들 입에 널리 회자되었다. 그가 14세 되던 해에 陞補詩에 장원을 한 「月明花落又黃昏」은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科體詩로 明나라 사신에게 전해지기도 하였다. 그의 벼슬길은 1588년 甲科에 2등으로 급제하면서,이듬해 2월 承政院의 注書 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곧 이어 발발한 임진의 전쟁에서 그는 成慶道 北評事로써 관북 지방에 침략한 왜척들을 소탕하였다. 전쟁이 끝난 뒤,농포의 벼슬길은 순탄하였다. 중간에 몇 차례 집안의 喪으로 인해 참시 벼슬길에 물러나기도 하였지만, 영흥과 온성 · 장단 등의 부사와 걸주와 공주의 목사 등등을 역임하면서,사은부사로 중국에 다녀오기도 하였다. 이후 남원 부사를 지내던 중 형조참판에 제수되였으나 고사하다가,길주 목사를 끝으로 1613 년 49세의 나이로 그는 還鄕하였다. 농포는 이후 다시는 벼슬길에 발을 들여놓지 않았다. 누차에 걸친 조정의 부름에도 끝내 응하지 않고,초야에 묻혀 일생을 마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는 결국 무고에 연루되어 옥사하고 말았다. 농포는 문신으로써,우리의 역사에 빛나는 군공을 세운 몇 안 되는 인물이다. 농포의 시는 354수가 현전한다. 이 시들은 지극히 남성적인 체취와 여성적연 정감이라는 두 개의 큰 축으로 구성이 되어있다. 농포는 먼저 상당량의 古詩를 통해 일상에서 느끼는 所懷와 史實의 褒貶을 진득하게 기하면서, 남성다운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하였다. 냐아가 文人畵창작에 직접 임하면서 선비다운 기개와 풍모를 닦고,그림과 시로 이를 내보였던 것이다. 농포의 섬세한 정감은 여성을 주제로 한 일반적인 시들과 題畵詩에서 드러난다 자신과 동등한 객체로써, 아름다운 미의 상징우로써 여성들을 직시하였다 그리고 티 없는 동심을 지닌 순수한 존재로써 아이들을 바라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