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와인색 반영구 문신용 염료가 신호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전자파흡수 에 의한 발열 감소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한천과 와인색 반영구 문신용 염료를 이용하여 염료가 퍼진 형태의 팬텀(패드형 팬텀)과 한곳에 뭉친 형태의 팬텀(주사형 팬텀)을 제작하였다. 두 팬텀은 전신용 자기공명영상장치에서 고속스핀에코(turbo spin echo, TSE)와 경사에코(gradient echo, GRE) 계열의 펄스열을 이용하여 2D와 3D로 검사하였다. 검사 후 영상 분석은 팬텀의 몸체, 염료, 공기 방울, 배경을 대상으로 총 720회의 신호강도를 측정하였 다. 전자파흡수에 의한 발열 감소 방안을 확인하기 위해 삽입형 온도계를 팬텀에 삽입 후 검사 전후 팬텀의 온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때, 대기 온도의 상승 변화를 고려하기 위해 검사 전 대기 온도를 측정하였고, 발열 감소를 위한 방법으로 장치에 내장된 팬, 젖은 거즈, 얼음을 이용하였다. 신호 강도는 2D 영상보다 3D 영상이 좋았고, TSE 계열이 GRE 계열보다 좋았다. 특히 와인색 반영구 문신용 염료가 있는 부위의 신호강도는 공기 때문에 발생한 자화 율 인공물보다 신호강도가 낮게 측정되었다. 온도 측정 검사는 패드형 팬텀과 주사형 팬텀 모두 검사에 의한 온도상 승 효과가 있었으며 온도의 저감을 위한 방법으로 얼음 패드, 팬, 젖은 거즈 순서였다. 본 연구를 통해 와인색 반영구 문신용 염료는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영상과 환자의 안전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발열 감소 방안으 로 얼음 패드가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3.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79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문신 및 반영구화장 관련 논문 198편을 대상으로 발표시기, 주제, 연구방법에 따라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시기별로는 제1기(1979년∼1994년), 제2 기(1995년∼2005년), 제3기(2006년∼2012년), 제4기(2013년∼2022년)로 나누었다. 제1기에는 보건의료적 측면의 연구가 주를 이루던 시기이며 제2기에는 예술, 문화 등 다양한 측면의 연구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 다. 제3기는 반영구화장에 관한 연구가 증가한 것이 특징이며 제4기는 문신 및 반영구화장의 연구가 급증 하였다. 연구주제별로는 보건·의료, 미용, 패션·예술, 사회·문화, 법·제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비 자의 선호도와 인식도 등을 파악하기 위한 미용적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보건의료적 연구가 두 번째로 많았다. 최근 법제화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법·제도와 관련한 연구들이 급증하였으며, 문화, 역사, 패션 등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연구방법별로는 조사연구 방법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문헌 연구, 사례연구 등 다양한 방법도 이용되었다. 본 연구로 향후 후속 연구가 더욱 촉진될 것이며 관련 산업 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5,200원
        4.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문신은 인류에게 오랫동안 전승되어온 문화 형태다. 인류의 여러 문화권에서 전승되고 발전 해온 전통적인 문신 풍습은 역사, 예술,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술적으로 중요한 연구 가치를 가진 다. 두룽족은 중국 남서부 윈난(雲南)성과 근처 지역에 사는 소수 민족 중 하나로 안면문신을 위주로 하 는 ‘얼굴문신(文面)' 풍습을 가지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1949년 전까지도 원시사회 형태를 유지한 두룽족의 전통적 문화는 문자가 없는 구전(口傳)의 형태로 전해 졌으나 두룽족의 신비로운 문신 문화에 대한 보존자료가 없어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현대 문헌과 윈난성 지역 현장 탐사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얼굴문신 풍습의 정확한 이유와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966년 중국 문화 대혁명으로 금지되어서야 사라지게 되었다. 얼굴문신의 상징과 기능에 대해서는 현지 탐사과 근현대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크게 신앙숭배, 성년 의례, 심미 장식, 민족 사회 역사의 4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문신을 하는 시기는 7∼8세 부터이다. 얼굴문신은 지역에 따라 상류 여성은 비교적 복잡한 도안 으로 구성되었으며, 하류 여성은 간단한 도안으로 구성되었다. 문신은 주로 친족이 시술하며 주로 대나 무 꼬챙이와 솥바닥에서 추출한 회즙 재를 재료로 사용한다. 현재 두룽족의 얼굴문신을 한 여성은 25명 미만으로, 대부분 고령화되어 있어 수십 년 안에 모두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두룽족의 독특한 얼굴문신 문화에 대한 문서화가 시급하다.
        4,000원
        5.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hirakawa Shizuka (白川靜) thinks, “yan (彥)”, “chan (產)”, “yan (顏)” three characters are the characters that show the tattooed character on the forehead. He carried out three aspects of arguments: 1. Glyphs and meanings; 2. Tattoo custom of uncivilized people; 3. Language use cases. In fact, Shirakawa Shizuka’s arguments in three aspects are all wrong: 1. His interpretation of “yan (彥)”, “chan (產)” and “yan (顏)” is wrong. He cited the tattoo custom of the uncivilized people to prove the original meaning of “yan (彥)” and “yan (顏)” is wrong. His understanding of some of the words he quoted was wrong. Moreover, there is something illogical about his argument. Therefore, his arguments are unreasonable. There are mistakes in Shirakawa Shizuka’s interpretation of human forehead tattoo Characters.
        6,400원
        6.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hirakawa Shizuka believes that there is a tattoo custom in the Yin culture of the Chinese Shang Dynasty: people in accordance with certain etiquette, respectively, on the forehead, breasts, chest and other body parts to apply tattoos, he proved that this view is mainly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at that time. He believes that “text” is the Chinese character that represents the tattoo, “Chan (產), Yan (彥), Yan (顏)” and other words are the Chinese characters that represent people tattooed on the forehead, “Er (爾), Shuang (爽), Shi(奭)” and other words are Chinese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tattoo in the breast, and also believe that “Xiong (凶), Xiong (兇), Xiong (匈), Xiong (胸)” are the words that mean the chest tattoo (for the convenience of the writing, the following aunt called “the chest tattoo series”). Shirakawa believes that the Chinese Shang Dynasty Yin culture there is a literary custom of the view is wrong, for this, the author has written a special article to refute, is now intercepting part of it, his release of the bra series of words wrong to start the argument. The author tracks the research process of Shirakawa’s, analyzes the glyphs, contacts the word use, and draws on the relevant research results, proving that he is wrong about the composition of the bra series, the meaning of the ex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5,800원
        7.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using the theory of sociologist Jean Baudrillard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contemporary people in Korea acquiring tattoos.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consumption behavior of modern society, as described by Baudrillard in The Consumer Society, into three keyword phrases: consumption by personal taste, coded consumption, and recyclage of consumption. Using this as the premise of the study, 18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nd the results supported labeling tattoo consumption as consumption by personal taste, tattoos as coded consumption, and recyclage of tattoo consumption, similar to the consumption pattern that Baudrillard sees. First, the younger generations have consumed tattoo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preferences. They express themselves by tattooing for self-complacency, self-marking, pursuing individuality, overcoming the appearance complex, and seeking pleasure. Second, they have consumed socially coded tattoos. They say that tattoos domestically act as negative codes and symbolize individuals. Although tattoos are a symbol of artists who are relatively free from social norms, they are still a symbol of social misfits created as such by negative perceptions. Third, the pattern of tattoo consumption is like that of contemporary consumption. Tattoos already have become part of popular culture in Korea, and there has been a changing trend in tattoo cultu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attoos were regarded as a consumption behavior that deviated, from the perspective of deviance. That phenomenon of today’s tattoo culture of today was confirmed through the empirical study.
        5,200원
        8.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vivo assay of glucose detection was described using a skin tattoo film electrode (STF), and the probe was made from carbon nano tube paste modification film paper. Here in the square-wave stripping anodic working range obtained of 20-100 mgL-1 within an accumulation time of 0 seconds only in sea water electrolyte solutions of pH 7.0.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of 50 mg glucose that were observed of 0.14 % (n=12), respectively, using optimum stripping accumulation of 30 sec, the low detection limit (S/N) was pegged at 15.8 mg/L. The developed results can be applied to the detect of in vivo skin sensing in real time. Which confirms the results are usable for in vitro or vivo diagnostic clinical analysi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