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여왕의 탄생, 그 시대적 불(佛)⋅문(文)⋅율(律) - 동아시아 불교⋅문화⋅율령의 관점에서 본 스이코⋅선덕⋅무측천의 등장 - KCI 등재

The Birth of the Queen, the era of Buddhism⋅Culture⋅Law : focusing on the appearance of Suiko⋅Seondeok⋅Wu ZetianTit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9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10,400원
동방문화와 사상 (East Asian Culture and Thought)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초록

6-7세기 왜⋅신라⋅당나라에서 즉위한 스이코(椎古)・선덕(善德)⋅무측천 (武測天) 세 여성 통치자의 등극은 동아시아 정치사에서 드문 현상이다. 이들 의 집권은 삼국 모두 왕권 중심의 중앙집권 국가로 발전하는 시점에서 진행 되었는데, 본고는 이를 불교(佛)-문화(文)-율령(律)’의 키워드로 접근하였다. 즉 문명의 환상선을 이룬 동아시아에서 도미노처럼 이어진 불교의 성행, 문화의 개방, 율령의 시행을 통해 조성된 정치균형과 경제발전, 젠더 프리의 분위기 가 여왕의 시대와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각국의 신앙체 계와 혈통적 관습, 탄력적 외교와 선진적 도약에의 열망이 유의미하게 작용했 음을 고찰하였다. 민중의 무의식을 지배해온 민간신앙의 여성 신성은 불교에 서 관음보살 형상으로 재현되며 여성 신자의 증가 및 여성 통치자 등극의 당 위성을 견인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구세력과의 결별을 요하는 시대의 요구와 맞물리면서 통치자의 권위를 법제화하는 시스템, 즉 율령의 완비로 연결된다. 율령은 통치자의 권위를 ‘국가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작업이자 왕권 중심의 중앙국가 성립의 이정표로서 의미가 있다. 그런즉 스이코⋅선덕⋅무측천 세 여왕의 등극과 치세는 ‘불교-문화-율령’의 코드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도출해 낸 원인이자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 여성의 통치 미학, 즉 소 프트 리더십이 6-7세기 동아시아 정치가 힘과 위계의 확장기로부터 치세와 번영의 안정기로 접어드는데 중요한 요소로 기능했음을 시사한다.

It is a rare phenomenon in East Asian political history that three female rulers, including Suiko (椎古), Seondeok (善德), and Wu Zetian (武測天), who were crowned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in the Japan, Silla, and Tang dynasy, appeared at the same time. Their rule took place at a time when all three countries developed into a centralized state centered on the royal authority, which this paper approached as the keyword of Buddhism, culture, and law. In other words, the atmosphere of political balance, economic development, and gender-free created through the dominoes of Buddhism, the opening of culture, and the enforcement of laws in East Asia, which formed the illusion of civilization, was related to the Queen's era. In the process, it was examined that each country's faith system, pedigree customs, flexible diplomacy, and desire for advanced leap forward played a significant role. First, the female divinity of folk beliefs, which had dominated the unconsciousness of the people, was reproduced in Buddhism in the form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driving the increase of female believers and the legitimacy of becoming female ruler. Second, it was also discovered that the cultural openness and gender equality culture formed through the prosperity and nomadic customs of the Tang Dynasty, the regents of Silla's matriarch, Doyueyangarang(都唯那娘) and Wonhwa(源花), and the activities of Japanese royal women and girld led to the expansion of women's social activities and the formalization of women's public offices. Third, these changes, in line with the demands of the times that require separation from the old forces, lead to the completion of the system that legislates the authority of the ruler, that is, the rule of law. The rule of law is the work of converting the authority of the ruler into a 'state system', which is meaningful as a milestone in the establishment of a central state centered on the royal authority. Therefore, the ascension and reign of the three queens, Suiko(椎 古), Seondeok(善德), and Wu Zetian(武測天), can be understood as a cause and result of the organically connecting code of 'Buddhism-Culture-Law'. On the one hand, this suggests that women's governance aesthetics, or soft leadership, served as an important factor in entering the period of stability of reign and prosperity from the expansion of power and hierarchy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in East Asian politic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불(佛): 불교의 활용과 사회 장악력
    1. 당나라: 도교의 생명주의와 불교의 관음 형상
    2. 신라: 원시신앙의 여성 신성과 불교 설화
    3. 일본: 여신과 신모의 계보화
Ⅲ. 문(文): 문화의 개방성과 여성의 위상
    1. 당: 호풍의 성행과 여성 활동의 증대
    2. 신라: 태후의 섭정과 도유나랑(都唯那娘)⋅원화(源花)의 조직
    3. 일본: 왕녀⋅채녀의 역할과 황실 여성
Ⅳ. 율(律): 제도의 정비와 정책의 수립
    1. 일본: 12관위와 헌법17조
    2. 신라: 관제의 정립과 체제의 완비
    3. 당: 현인능사와 건언12사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영숙(숙명여대 연구원) | Lee Young-suk (Sookmyung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