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법무부에서 지정한 마약사범 전담교정시설의 마약사범을 대상으로 운영 할 수 있는 통합적 프로그램(회복이음 과정)을 구성하고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조사하 였다. 이를 위해 현장 전문가 및 마약재활 전공 교수 등의 TF 개발집단을 구성하였으 며 최근 마약재활 연구 동향과 담당자 및 수용자 인터뷰 등을 종합하여 160시간의 약 3개월의 통합적 프로그램의 매뉴얼을 구성하였다. 서울지역과 경상지역의 교도소 에서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을 선발하였으며 그 대상에 대한 사전・사후 차 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 집단에 있어 심리치료 프로그램 후 통계적으로 유 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무처치 통제집단과 비교도 차이가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샘플을 확대하고, 질적 자료를 추가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판단할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을 보완 발전해야 할 필요도 있어 보인다. 몇 가지 제한점을 극복하고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 이 도구의 적합성과 프로그램 내용의 구성에 대해서도 건강한 논의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by constructing and developing an integrated program to be operated for drug offenders at correctional facilities to drug offender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To this end, a TF development group of field experts and drug rehabilitation professors was formed, and a preliminary manual for a 160 hour comprehensive program of about 3 months was formed by combining recent drug rehabilitation research trends and interviews with personnel and recipients. The test group of 20 people and 20 members of the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prisons in Seoul and Gyeongsang, and differences were verified before and after.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psychotherapy program,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no-treatment control group.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expanding the sample and adding qualitative data, and there is also a need to supplement and develop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In order to overcome some limitation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gram, healthy discussions will have to continue on the suitability of this tool and the composition of the program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