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마약사범재활 전담교정시설 수용자 대상 통합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KCI 등재

Integrated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for Inmates of Correctional Facilities to Drug Offender Rehabilit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68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본 연구는 법무부에서 지정한 마약사범 전담교정시설의 마약사범을 대상으로 운영 할 수 있는 통합적 프로그램(회복이음 과정)을 구성하고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조사하 였다. 이를 위해 현장 전문가 및 마약재활 전공 교수 등의 TF 개발집단을 구성하였으 며 최근 마약재활 연구 동향과 담당자 및 수용자 인터뷰 등을 종합하여 160시간의 약 3개월의 통합적 프로그램의 매뉴얼을 구성하였다. 서울지역과 경상지역의 교도소 에서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을 선발하였으며 그 대상에 대한 사전・사후 차 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 집단에 있어 심리치료 프로그램 후 통계적으로 유 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무처치 통제집단과 비교도 차이가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샘플을 확대하고, 질적 자료를 추가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판단할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을 보완 발전해야 할 필요도 있어 보인다. 몇 가지 제한점을 극복하고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 이 도구의 적합성과 프로그램 내용의 구성에 대해서도 건강한 논의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by constructing and developing an integrated program to be operated for drug offenders at correctional facilities to drug offender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To this end, a TF development group of field experts and drug rehabilitation professors was formed, and a preliminary manual for a 160 hour comprehensive program of about 3 months was formed by combining recent drug rehabilitation research trends and interviews with personnel and recipients. The test group of 20 people and 20 members of the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prisons in Seoul and Gyeongsang, and differences were verified before and after.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psychotherapy program,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no-treatment control group.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expanding the sample and adding qualitative data, and there is also a need to supplement and develop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In order to overcome some limitation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gram, healthy discussions will have to continue on the suitability of this tool and the composition of the program cont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마약류 중독의 동기 강화 상담 개입
    2. 중독자 12단계 치료 프로그램
    3. 자조 모임(NA)
    4. 특별활동
    5. 출소 후 재활 시설 연계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용 도구
    3. 통합적 과정
    4. 자료분석
    5. 연구절차
Ⅳ. 연구결과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
    3.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
    4. 프로그램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최경찬(한국외국어학교 교육학과 박사, 교정본부 마약사범재활팀) | Choi Kyeongchan (Ph.D. Department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정여경(중앙대학교 심리학과 박사수료, 교정본부 마약사범재활팀) | Chung Yeokyung (Ph.D. Candidate, Department of Psychology, Chung-Ang University)
  • 박근영(경상국립대학교 심리학과 박사수료, 진주교도소) | Park Geunyeong (Ph.D. Candidate, Department of Psych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나연(충남대학교 심리학과 박사, 교정본부 마약사범재활팀) | Kim Nayeon (Ph.D. Department of Psych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이승욱(동아대학교 의료상담심리학과 박사, 부산교도소) | Lee Seunguk (Ph.D. Department of Medical Counseling Psychology, Dong-A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