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심리적 계약위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 KCI 등재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n Turnover Intention -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and Regulating Resilience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0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불확실한 경영환경에 따라 구성원 또한 조직에 대해 심리적인 불안감을 가지게 된다. 특히 고용에 대한 불안감이나 성과에 대한 압박 등으로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기대에 미치지 못한 대가로 인해 조직에 대해 불신이 높아져 이직이라는 행동으로 이어진다. 본 연구는 구성원이 조직으로 부터 심리적 계약위반을 인 식하게 되면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아지고 조직을 벗어나려는 이직의도가 높아지는지에 대해 검증해 보고자 한다. 또한 구성원 개인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로 이직 하려고 하는 의도를 상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심리적 계약위반과 이직의도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즉 조직으로 부터 기대한 대가를 받지 못했다고 인지한 구성원은 조직 에 대한 불신과 실망을 받아 조직을 떠나려는 의도가 높아진다. 둘째, 심리적 계약위반을 인식한 구성원은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아지고 이는 이직의도를 높이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직무스트레스 와 이직의도 사이에 개인의 회복탄력성이 완화하는지 검증한 결과 개인의 회복탄력성이 높으면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를 빨리 극복하고 이직의도를 완화 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구성원의 심리적 계약 위반 인지는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를 높일 뿐 아니라 조직을 떠나려는 이직의도를 높이므로 구성원이 기대하고 원하는 부분이 어떤 것인지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적절한 보상과 그에 맞는 관리 방안을 마련해 야 한다. 또한 개인의 회복탄력성이 이직의도를 완화시키는 측면에서 개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여 회복탄 력성을 강화하고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을 통해 구성원의 이직률을 낮출 수 있는 실무적 방안을 제시하였 다.

Depending on the uncertain business environment, members also have psychological anxiety due to uncertainty about the organization. In particular, job stress is caused by anxiety about employment or pressure on performance, and distrust of the organization increases due to a price that does not meet expectations, which is a behavior of turno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if a member recognizes a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from the organization, the stress on the job increases and the intention to leave the organization increases. In addition, it was studied whether individual member's resilience could offset the intention to turnover due to stress on the job.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violation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and the intention to turnover had a positive (+) effect. In other words, members who recognize that they have not received the expected price from the organization are distrusted and disappointed in the organization, and their intention to leave the organization increas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members who recognized the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increased their stress on their job and this increased their intention to turnover. Finally,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an individual's resilience is alleviated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if an individual's resilience is high, he or she quickly overcomes job stress and relieves job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above study, the perception of a member's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increases not only job stress but also the intention to leave the organization, so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observe what the member expects and wants, and to prepare appropriate compens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In addition, in terms of easing individual resilience's intention to turnover, practical measures were suggested to increase individual self-esteem, strengthen resilience, and lower the member's turnover rate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심리적 계약위반
    2. 심리적 계약위반과 이직의도
    3.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4. 회복탄력성 조절효과
Ⅲ. 연구방법
    1. 표본과 자료 수집
    2. 변수의 측정
Ⅳ. 가설 검증
    1. 인구통계학적 분석
    2. 상관관계 분석
    3.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4. 가설검증
Ⅴ. 결 론
    1. 연구의 결론
    2. 시사점 및 한계점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정윤정(경상국립대학교 산업경영학과 강사) | Jeong Yun Jeong
  • 이희옥(경성대학교 교수) | Lee Hee Ok Corresponding author
  • 정동섭(경성대학교 교수) | Chung Dong Se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