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LiFE 2.0 사업 참여대학과 지자체의 연계 협력 정책사례 분석 KCI 등재

A Policy Case Analysis of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LiFE 2.0 Project and Local Governm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이 연구는 지역과 대학의 상생 발전을 위해 추진되고 있는 대학과 지자체의 연계 협력 정책사례 분 석을 통해 지역과 대학의 평생교육 연계 협력 방향을 제시하고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진행하였다. 연구 를 위해 대학과 지자체 협력이 강조되었던 LiFE 2.0 사업 참여대학의 지자체 연계 협력 정책사례 24개 를 수집하였다. LiFE 2.0 사업 대학과 지자체와 연계 협력 정책사례에서 지자체 이외에 협력 주체, 지 자체와의 협력 방법, 협력 내용, 협력 형태 등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문헌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 였다. 연구 결과, LiFE 2.0 대학과 지자체 연계 협력의 주체는 기초지자체와 광역지자체 이외에 산업체, 평 생교육기관, 전문단체, 평생교육 추진기구 등이었다. 협력 방법은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활용하고 있었으 며,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운영, 협의 또는 협약, 인적․물적 인프라 공유, 연구, 포럼 및 워크숍 개 최 등으로 나타났다. 대학과 지자체 연계 협력의 형태는 교육과정 개발 운영형, 교육과정 개발 및 학과 개설형, 연구 기반 교육과정 개발 운영형, 연구 기반 지역 연계 행사 전개형으로 구분되었다. 전통적인 대학의 역할이 시대적, 사회적 요청에 따라 변화되고 달라질 수 있기에 실질적 사례를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평생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여섯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연구의 제한점에 따른 후속연구 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implic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policy cases of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governments, which are being promoted for the win-win development of regions and universitie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operation between regions and universities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study, the case of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the LiFE 2.0 project, where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governments was emphasized, was selected, and data on 24 policy cases of cooperation linked to local governments were collected from the website of the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NILE). In the case of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LiFE 2.0 project, research questions on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methods of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contents of cooperation, and forms of cooperation were set up in addition to local governments, and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LiFE 2.0 universities and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to the basic and metropolitan governments, were the main subjects of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organizations. The methods of cooperation were diverse and complex, and curriculum and program development, operation, consultation or agreement, human and material infrastructure sharing, research, forums, and workshops were held. The forms of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governments were divided into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department opening, research-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and research-based regional linkage events. Since the role of traditional universities can change and vary according to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society, six implications were drawn on th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practical cases,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대학 평생교육 지원 정책과 지역 연계 지원사업
    1. 국가와 지자체의 대학 평생교육 지원 정책
    2. 대학의 평생교육과 지역 연계 관련 법규 및 지원사업
Ⅲ. 연구방법
    1. 문헌 텍스트 분석
    2. 정책사례 연구
    3. 분석사례 및 절차
Ⅳ. 연구결과
    1. LiFE 2.0 대학-지자체 연계 협력 시 지자체 이외의 주체
    2. LiFE 2.0 대학-지자체 연계 협력의 방법
    3. LiFE 2.0 대학-지자체 연계 협력의 형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명숙(광운대학교 성인학습성공센터 초빙교수) | Kim Myoungsook
  • 김성길(광운대학교 참빛인재대학 교수) | Kim Seonggil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