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MZ세대의 몸에 새겨진 타투의 문화적 의미 탐색 KCI 등재

An exploratory study of tattoos engraved on the bodies of the Korean MZ gener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과거 한국 사회에서 터부시되었던 타투가 오늘날 MZ세대에게 일상적이고 보편적인 문화가 되어감에 따라, 이들에게 타투 가 갖는 문화적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MZ세 대 35명(연령 20~30대)을 대상으로 질적 인터뷰를 수행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참여자에게 타투의 의미는 ‘진정한 나라 는 표시’이며, ‘유대관계와 연결의 상징’이며, 그리고 ‘감정 통제의 수단’ 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향후 한국 사회를 이끌어갈 MZ세대의 타투 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것은 이들의 몸, 정체성, 그리고 문화적 실천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정 책적·산업적 차원에서 타투 합법화 논의는 물론,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 는 윤리적 기준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tattoos among the MZ generation, as tattoos, once taboo in Korean society, have become an everyday and widespread cultural phenomenon. To achieve this, qualitat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5 individuals from the MZ generation (aged 20s to 30s),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eaning of tattoos for participant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a mark of true self,” “a symbol of bonds and connections,” and “a means of emotional regulation.” Understanding the tattoo culture among the MZ generation, who are expected to lead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academic discussions on their bodies, identities, and cultural practices. Additionally, at policy and industry levels, this research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ebates on tattoo legalization and for establishing ethical standards that respect cultural diversity.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1. ‘진정한 나’라는 표시
    2. 유대관계와 연결의 상징
    3. 감정 통제의 수단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추혜원(레스터대학교) | Hyewon Choo (University of Leice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