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Pain to Symptom: Christianity and the Ethics of Suffering
본 논문은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기독교와 고통의 윤리를 논의하였다. 특히 영화 <안티크라이스트>, <패션 오브 크라이스>, <막달라 마리아>를 통해 인간 의 고통을 초자아와 증상의 차원에서 다루었다. 정신분석에서 고통은 향락과 관 계한다. 영화 <안티크라이스트>와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는 고통을 향유하는 도착적인 초자아를 대변한다. <안티크라이스트>는 초자아의 향락을 위해 고통 의 기원인 근본 환상을 반복해야 하는 존재의 비극성을 드러낸다. 또 <패션 오 브 크라이스트>는 세속적 종교가 표방하는 구원의 논리가 얼마나 도착적일 수 있는지 보여준다. 반면 영화 <막달라 마리아>는 고통이 증상의 차원으로 전환 되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역능을 보여준다. 막달라 마리아는 ‘증상적 고통이 바로 나 자신’이라는 발견을 통해 기독교와 고통에 대해 근본적인 새로운 질문 을 던지고 있다.
This paper discusses Christianity and the ethics of suffering from a psychoanalytical perspective. In particular, it explores human suffering through the lens of the films Antichrist, The Passion of the Christ, and Mary Magdalene, focusing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uperego and the symptom. In psychoanalysis, suffering is closely related to jouissance. The films Antichrist and The Passion of the Christ represent the perverse superego that derives pleasure from suffering. In contrast, the film Mary Magdalene presents the transformative power that can emerge when suffering is shifted to the level of the symptom. Mary Magdalene poses a radically new question to Christianity and suffering through her discovery that “symptomatic suffering is precisely who I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