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불교에서 탑돌이 방향의 기원과 문화적 의미 KCI 등재

The Origins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Direction of Tabdori(Stupa Circumambulation) in Buddhi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0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본 논문은 불교의 대표적인 예경 의례인 ‘탑돌이(繞塔, pradakṣiṇā)’ 의 기원과 상징성, 그리고 그 문화적 변용 과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 히 초기 불교 경전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오른쪽으로 도는 행위(右 繞, 우요)’의 의미에 주목하여, 고대 인도 브라만교 및 베다(Veda) 전통 에서 비롯된 방향 개념이 불교 의례에 어떻게 계승되었는지를 분석하였 다. 나아가 인도에서 정형화된 우요 중심의 탑돌이 관행이 중국과 한국 에 전래되며, 각 지역의 사상과 문화에 따라 어떻게 충돌하거나 융합되 었는지를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중국에서는 유교의 좌·우 질 서 개념과 불교의 우요 관념이 충돌하며 상징 질서의 재해석이 시도되었 으며, 한국에서는 신라와 고려시대를 거치며 탑돌이가 국가적 호국 의례 및 공동체 중심의 복회(福會)로 제도화되었다. 조선시대 억불 정책 이후 탑돌이는 민속화되어 연등회, 성밟기, 탑돌이 민요 등과 같은 세시 풍속 으로 변모되었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불교 사찰의 연례 행사 및 문화 축 제로 계승되고 있다. 본 연구는 탑돌이의 방향성과 수행 방식이 시대와 문화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형되었음을 확인하며, 그 의례적 상징성과 공 동체적 기능이 여전히 유효함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탑돌이가 단 순한 불교 의례를 넘어선 대표적 사례로 제시하고, 전통문화의 계승 구 조와 종교 의례의 사회적 확장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rigins, symbolism, and cultural transformations of the Buddhist ritual Tapdori (繞塔, the ritual of circumambulating a stupa),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Uyo (右繞, the act of turning to the right) and its connection to directional concepts in ancient India. In China, Tapdori was symbolically reinterpreted in relation to Confucian left–right hierarchies, whereas in Korea it was institutionalized during the Silla and Goryeo periods as a state ritual and communal Bokhoe (福會, merit-accumulating gather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ractice became folklorized, and today it continues as both a Buddhist ceremony and cultural festival. The findings demonstrate the ritual’s historical and cultural adaptability and underscore the enduring significance of its symbolic and communal role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불교 경전 속 ‘오른쪽 돌기’의 어원과 상징성
Ⅲ. 인도 불탑(Stupa)의 기원과 의례적 기능
Ⅳ. 지역별 탑돌이 문화의 전개
    1. 인도 불교에서의 탑돌이 의식과 실천
    2. 중국 불교에서의 탑돌이 문화와 문화적 충돌
    3. 한국 불교의 탑돌이 수용과 민속화 과정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은경(동국대학교) | Lee eun kyung (Donggu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