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4 한국육종학회 차세대BG21사업단 골든씨드프로젝트사업단 공동심포지엄 (2014년 7월) 389

38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발표는 GSP 사업의 일환으로 벼, 옥수수, 감자 종자 수출을 위한 수출 주요 예상국의 국가별 정책과 신수요 동향 및 정보분석을 통해 해외마케팅 전략 수립에 관한 내용이다. 분석대상 국가는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의 4개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CPS분석, 산업환경분석, 밸류체인 분석, 시장 전망 분석, 진출 가능성 분석과 진출 전략의 수립을 포함하고 있다. 베트남은 농업이 경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로 농업 투자를 우대하고 있으며 농업 경쟁력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혜택과 정책을 다수 수립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농림축산식품부와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의 교류협력 촉진을 위한 MOU가 체결되어 시장 진입에 강점이 있다. 베트남의 벼 종자시장은 수 입 품종에 대한 의존도가 낮고 기후 조건도 양호하여 신품종 수요가 크지 않으며, 옥수수는 수입품종 의존도가 높 지만 재배 환경이 열악하여 시장 진입에 어려움이 따른다. 감자 시장 수요의 50% 이상이 ㈜오리온이기 때문에 감 자 종자 시장의 진입에 유리함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인도네시아는 최근의 경제 성장과 인구 증가로 식량작물의 수요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종자의 수요가 매우 높아 매년 외국으로부터 다량의 종자를 수입하고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인건비와 토지 이용료가 저렴하여 계약 생산 등의 시스템 도입에 유리한 점이 많고, 기후 와 재배 환경이 양호해 다양한 방향의 진출 전략이 가능하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식량작물 수요국이자 생산국으 로 종자 수요 역시 대단히 커서 종자 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투자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자국기업의 보호를 위해 법적으로 외국 기업에 대한 법적 제약이 많고 차별이 상존하여 시장 진출에는 주의가 요구된다. 캄보 디아는 세계 최빈국 중 하나로, 종자의 기술적, 양적 부족이 심각한 상태이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종자 도입에 대해 관대하며, 외국인 투자의 특혜나 시장 친화적 정책을 다수 수립하고 있다. 태국회사인 CP사의 점유율이 매우 높아 독점적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법적, 제도적 절차가 미흡하여 진출시 권리 보호에 위험이 따를 수 있다. 4개국은 모두 종자의 수요가 높은 반면 자국의 기술 수준이 낮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을 제외한 3개국의 시장의 진입장벽은 높은 편이며 외국기업에 대한 정책들도 그 강도가 달라 진출 기업의 특성과 해당 시장의 수요 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38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발표는 베트남, 캄보디아의 기상환경에 적응하는 고품질(高品質) 내병(耐病) 내재해(耐災害) 다수성(多收性) 탈립 및 탈립 저항성(脫粒抵抗性) 품종의 육성 후 수출과 육성 개발품종의 종자상품화를 통한 현지 농가보급 활성 화 및 탈립 저항성 품종을 활용한 대면적 재배농가 확대로 재배면적과 생산량 증대 및 국가식량자급도 향상 방안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캄보디아 베트남 현지의 내습성 및 내병성 유전자원 수집과 인공교배로 국내품종의 내습 성과 내병성을 보강하고, 동남아 기후 및 재배여건에 적합한 영농기술체계 확립하여야 한다. 캄보디아 베트남에 서 생산한 품종의 품질평가를 통하여 고기능성 및 고항산화 품종을 육성, 대 중국 종자시장 소비시장과 세계무역 시장 진출 및 국내수입참깨시장에서의 수입대체효과 유발 및 원가절감 방안을 소개한다. 수출 시장개척 및 마케 팅 전략으로 우수 육성품종의 종자상품화로 현지 전국의 종자 및 농약사에 우수한 품질의 종자를 농가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 농가의 재배수익성 증대로 생산과 재배면적을 증대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캄보디아 베트남은 일년의 절반은 건기와 우기로 나뉘어져 한발과 침수가 교차하므로 한발 및 습해저항성 유전자원과 함께 국내에서 무서운 역병, 위조병, 엽고병 등에 강한 유전자원이 풍부히 산재, 수집된 유전자원을 교배모본으로 활용, 국내품종 의 재해 및 병해저항성을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국내품종의 고품질화를 통해 중국 상류층의 “한류”에 부응, 세계 최고급 농산물 수출시장을 개척하고 캄보디아 베트남 현지농장의 대면적 재배생산 시스템 확립으로 전 세계 세계 무역시장에 진출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38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technology, the variation of sequences represented as SNP between cultivars becomes available at genome level. The major domestic cultivars with high yield have been developed by breeding of indica and japonica, it is important to localize the region of origin according to the genotype for further characterization of unique features of cultivars. For the localization of SNP at genome level, the paired end sequences of 6 major domestic rice cultivars, Ilmi, Ilpoom, Sulgaeng, Bakjinju, Hwayoung and Woonkwang were compared against Japonica and Indica Rice Genomes as reference genomes. The genomic DNAs were prepared from callus tissues and paired-end of the fragments were sequenced with NGS Sequencer, Illumina HISeq. About 50x coverage of paired-end sequences were trimme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sequences, and errors were corrected with statistical analysis of kmers of 15. The trim-corrected sequences were mapped and variants were analyzed against reference genomes. The overall change rate of Ilmi against Nipponbare IRGSP 1.0 and Indica BGI 93-11 reference genomes were 0.92 base/1kb (1/1,079 base) and 8.09 base/1kb (1 base/123 bases), respectively. Among 6 cultivars, overall rate of Bakjinju showed the lowest overall change rate of 0,53 base/1kb, and Hwayoung showed highest frequency of 0.92 base/1kb. Compared to high level in the range of change rate of 7.0-9.3 base/1kb against indica, domestic cultivars showed lower range of change rate 0.2-3.3 base/1kb with unique local high peak against japonica genome depend on the chromosomes. Compared to assembly of genome sequences, the variation of nucleotides compared to reference sequences is much faster and simple to characterize the genotype. The types of variation and the effect on functional categories will be presented.
38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Gsol (Translational Genomics for Solanaceae)은 가지과 작물의 유전체 정보를 육종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석 하여 제공하는 특화된 웹 인터페이스이다(http://tgsol.seeders.co.kr). 가지과에는 경제적으로 고부가가치 작물인 토 마토, 감자, 고추를 포함한 3,000개 이상의 다양한 종을 포함하고 있다. 최근 감자 (Nature, 2011), 토마토 (Nature, 2012) 그리고 고추 (Nature Genetics 2014)의 표준유전체 정보가 발표되었고, 이를 육종에 활용하기 위한 후속 연구 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거나 계획 중이다. 또한 주요 육종 라인 혹은 중요 유전자원을 중심으로 resequencing이 진행 중에 있어 활용에 대한 기대가 매우 높으나 대규모의 복잡한 유전체 정보를 접근할 수 있는 통로는 매우 제한적이 다. 그래서 TGsol은 가지과 작물 표준유전체 그리고 resequencing 정보를 분석하여 분자육종 수요자의 요구에 친화 적인 웹 인터페이스로 구축하여 기능적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별히 유전체 정보와 형질관련 유용유전 자를 제공함으로써 MAS (maker-assisted selection)와 MAB (marker-assisted backcrossing) 확립에 필요한 다양한 정 보를 제공한다. MAS를 위한 목표 형질은 병저항성, 과실발달, 유용 대사산물이다. 또한 토마토, 감자, 고추 사이의 ortholog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에 연구된 형질관련 유전자를 가지과 내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 한 결과는 유전체 정보와 육종 간의 상호 소통 및 활용이 원활하도록 지원하는 가교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발전 시켜 나갈 예정이다
38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is an important worldwide crop of dietary protein and oil resources for human foods and animal feeds. However, soybean breeding and improvement has been experienced challenges by a narrow germplasms. SNP genotyping array is regarded as a promising tool for dissecting wild and cultivated germplasms to find important genes by high-density genetic mapping and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GWAS). Here, we present the establishment of a large soyaSNP array and its use for diversity analysis and high density linkage mapping. More than 4 million high-quality SNPs identified from 16 high-depth and 31 low-depth soybean genome resequencing data were used to select 180,961 SNPs for the Axiom® SoyaSNP array. Our validation analysis for a set of 222 diverse soybean lines showed that a total of 171,161 markers were good quality for genotyping. Of the converted SNPs, 82.6% SNPs had a marker spacing of less than 9 kb and 17.4% SNPs greater than 9 kb, thereby suggesting that our array is likely suitable for GWAS of soybean germplasms. In the GWAS for seed protein content in the wild soybean germplasms with the size of 1,135 accessions, 22 loci on 12 chromosomes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logP>4). The highest associated peaks were shown at the 28 Mbp region on Gm05 (-logP=5.89), at 45 Mbp on Gm03 (-logP=5.32), and at 2.8 Mbp on Gm17 (-logP=5.00). Of the 22 associations, 8 corresponded with the location of previously reported seed protein QTLs and 14 regions is thought to be new QTLs for seed protein content in wild soybean. This array is being used to construct high-density genetic maps in two recombinant inbred lines and nested-association mapping populations with 30 combinations used Daepung cultivar as hub-parents, with an objective to confirm large structural variations of chromosomes using the ultra-high-density maps.
38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ost noticeable achievement of agriculture in China is that about 7% of the world’s arable land feed 23% of the world’s population. New varieties of rice breeding and its produc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great achievement. Ri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rain crops in China. More than 60% of the population in China takes rice as the staple food. Rice production accounts for 40% of the total grain output. With the increase of the population, the demand for rice will continue to grow. Therefore, breeding new rice varieties to improve rice production will play a crucial role to ensure food security in 21st century. This paper reviews the development course of rice production and breeding technologies of our country, and the achievements of rice breeding technology as well as the present situation of rice traditional breeding and molecular breeding.
38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ina now has about 69% advantage of the rice yield as compared with the global average. The planting area was 30 million ha and total yield was 180 million ton in China in every year. Now, the breeding strategy of hybrid rice includes the improving ratio of plant morphological and raising heterosis level and using tools of the molecular biology. Some research was fixed on main index of plant type of hybrid Rice, which had the tall erect-leaf canopy and lower panicle position and bigger panicle size. Methods of raising heterosis level were expressed including exploitation and utilization of various male sterility resources, development of male sterile lines with high grain quality and out-crossing capacity, using wide-compatibility (WC) gene to overcome seed-set problem.
38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green revolution in 1970s, representing by the ‘Tongil type’ rice cultivars, rice breeding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Korean society in terms of self-sufficiency in staple food-grains and development of agricultural industry. During last three decades, conventional rice breeding has successfully enhanced rice commercial value in Korea through developing elite cultivars related with high quality, resistant or tolerant against biotic or abiotic stresses, special-purpose, direct seedling, super yielding, and functional rice. In the meantime, breeding technologies has been also improved by adopting and putting to practical use of theories and technologies of plant science such as mutation breeding, cytoplasmic-genetic male sterility, anther culture mediated haploid breeding, marker assisted selection, and transformation. Rice breeding, meanwhile, is an endless procedure of creating desirable haplotype expressing improved performances of agronomic traits. Narrow genetic diversity of Korean commercial rice lines have been a major limit factor not only in developing breeding lines having resistance and tolerance against biotic and abiotic stresses, but also in expanding genetic availability in terms of widening end-use properties. Although introducing novel allele types might be possible via crosses with wild relatives, it demands additional tedious efforts to restore the unique genetic background of the recurrent parents, which determine commercial value in the market. Moreover, due to most conventional breeding programs are prone to depend on phenotypic selections, addressing the driving force to be a superior haplotype would be very difficult in terms of tagging the chromosomal location of the target loci and estimating their genetic effects. Recently, coupling with the decrease of domestic rice consumption, Korean rice industry has being threatened by rapid changes in environmental, social, and even international circumstances, for example climate change, aging population, and opening of the rice market. To maintain the rice industry as a stable and sustainable growth engine of Korean economy, it is strongly demanded to develop practical strategies encompassing wide variety of available resources including germplasm, bioscience, and manpower. As the role of R&D party, technology convergence followed by communication among stakeholders of rice research would be essential. To the context, based on the hypothesis of the future of Korean rice industry, major schemes related with the issues of 1) High Quality, 2) Cost Reduction, 3) Stable Production, and 4) Consumption Boost would be discussed along with the projections over the achievements and shortcomings of Korean rice cultivars in terms of agronomic traits.
389.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하급수적인 인구증가와 한정된 경작지로 인한 미래 식량수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05년 현재 전세계 65억인구를 위해 헥타당 4명정도분의 식량공급으로 이를 극복하였지만 2030년 세계인구가 80억이상이 되면 헥타 당 5명이상을 위한 식량을 공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전세계 농업생산성을 향상시켜 날로 급증하는 식량 안보를 강화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1996년이래 생명공학작물 을 통한 농업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다. 지난 5년간 종자시장의 CAGR은 약 8.7%로 2013년 현재 394억달러의 시장가치를 지니며 이중 생명공학작물종자는 CAGR 17%, 시장가치 201억달러로서 일반종자의 CAGR 2.8, 시장가치 193억달러에 비해 급속한 신장을 이루었다. 2013년 현재 전세계 27개국, 1800만 농민들이 1억 7520만 헥타에서 GM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1) 옥수수 ; 미국 전체 옥수수 재배면적 3억4천4백만 헥타의 96%이상이 생명공학 옥수수이며 이중 67% 가 삼중 후대교배종 이상의 품종이다. 브라질의 경우, 2009년이래, 생명공학 옥수수 재배면적은 급격히 증가하여 2012 년에는 전체면적의 85%에 도달하였으며, 이 중 68%이상이 이중후대교배종이었다. 새로운 생명공학 옥수수개 발은 Refuge 경감대책을 위해 작용기작이 다른 해충저항성 및 새로운 제초제 저항성, 가뭄 저항성 /Water-optimaization, 생산성 향상, 질소 이용 효율 증진 등이 주요 타겟이다. 2) 대두 ; 2011년 현재 콩 종자시장 규모는 2011년 현재 약 55억$ 정도이며 이 중 생명공학 대두 종자는 21.8% (12억 달러)를 차지하고 있다. 2012년 현재는 전체 미국 대두재배면적의 98% (3157만 헥터)를 생명공학 대두가 차지 하고 있다. 1%정도가 LibertyLink® 이고, 나머지는 모두 Roundup Ready® 저항성 대두이다. 새로운 생명공학 대 두는 새로운 제초제저항성, 새로운 해충저항성, 선충 저항성, 수확량 향상, 영양성분 강화 (High oleic acid, Omega 3, High oil, High stearate 등)등이 주요 타겟이다. 전 세계 채소종자시장의 가치도 계속 성장하고 있는 중이다. 상업채소종자시장의 규모는 46억 $(2011)에서 매년 7 ~ 8%의 연평균복합성장률(CAGR)을 반영하여 2025년에는 약 130억 $ 정도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인 도, 중국과 같은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자가채종 종자에서 상업종자, 특히 교배종 종자로의 전환이 급증하고 있다. 인도에서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도시근교의 주요 채소재배면적은 감소하고 있으며 중국내 채소재배는 고품질 의 종자가 필요한 고품질의 농산물 수출이 증가하는 따라 영향을 받아 증가하고 있다. 서구 국가의 경우, 새롭고, 구별되고, 건강에 좋으며, 색다른 채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라 종자 가격과 산물 가격이 상승되는 것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신선한 가공채소 트렌드는 어린 상추 잎과 시금치 잎 재배면적을 증가시키고 있다. Spring mix lettuce 파종 비율은 일반적인 상추 파종비율에 비해 20배 이상 증가하였다. 전체적으로 교배종 종자의 가격은 매년 5~8%정도 증가하고 있으며, 고정종(OP) 종자의 경우 매년 2~6%정도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